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기지촌 공동체의 재발견 안일순의 『뺏벌』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2017 .01
사회로서의 기지촌 재현 - 복거일의 <<캠프 세네카의 기지촌>> 다시 읽기
인문학연구
2024 .02
조해일의 「아메리카」에 나타난 ‘미국’ 표상 연구 : 신식민주의적 아메리카니즘의 이면(裏面)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015 .04
기지촌 할머니들과의 인연, 고난과 거룩한 만남
한국여성신학
2015 .08
한국전쟁과 냉전의 유령: 기지촌 서사의 변화 양상 -1990년대 이후 기지촌 서사와 그레이스 M. 조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024 .03
송탄 기지촌의 공간변화 : 1952년-2018년
역사와경계
2018 .12
미군 ‘위안부’ 재현과 자기서사의 틈새―안일순의 『뺏벌』(1995)⋅김연자의 『아메리카 타운 왕언니, 죽기 오 분 전까지 악을 쓰다』(2005)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24 .08
왜 미군 위안부는 잊혀져야 했는가? – 기지촌의 로컬리티와 기억의 정치
로컬리티 인문학
2021 .04
기지촌 소설에 나타난 난민화된 여성 정체성 읽기 - 윤이나의 『베이비』(1996)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과 예술
2024 .06
춘천, 기지촌 : 1960, 70년대 캠프페이지와의 관계 속에 형성된 주민의 삶과 문화
한국학연구
2019 .03
분단현실과 동아시아의 사유― 한국 전후 여성소설을 중심으로 ―
일본학보
2020 .01
트랜스내셔널 ‘위안부’ 서사 연구 - 『종군위안부』와 『전쟁 같은 맛』을 중심으로 -
우리문학연구
2024 .07
군사도시의 지역사회관계 형성 ― 주한미군의 근린 정책과 ‘기지생활권’을 중심으로 (1957~1971년)
도시연구
2022 .03
주한미군기지 인접 지역 내 미군경찰의 활동과 의미 (1954~1970년)
사림
2020 .01
민족국가의 베트남전쟁 해석사와 국적불명 여성들의 전장 -황석영의 『무기의 그늘』 재독
동방학지
2020 .01
한․일 영화 속의 미군 기지촌 문화 비교 - 베트남 전쟁 시기의 ‘록밴드’를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
2022 .05
1970년대 소설의 여성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어문연구
2022 .12
여성 서사 속 기지(촌) 성매매 여성의 기억과 재현 -강신재․박완서․강석경 소설과 김정자 증언록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19 .01
‘미군 위안부’ 소재 희곡/연극에 나타난 하위 주체의 기억과 정동의 정치 ─ 이양구의 ‘일곱집매’와 ‘문밖에서’를 중심으로 ─
국어문학
2023 .07
지역 운영의 군사개입과 ‘예외 공간’의 형성(1957~1971년) - 주한미군의 ‘지역사회관계 자문위원회’ 조직과 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2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