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청소업을 통한 호주 한인의 사회이동
다문화와 평화
2021 .08
호주의 이민자 공간과 한인 공동체 : 호주의 산업구조에 따른 집중과 분산
HOMO MIGRANS
2018 .11
호주가 타들어가고 있다.
제3시대
2020 .01
호주에서 한인교회의 시작과 현재
미션인사이트
2016 .02
호주 인구문제의 정치화와 이민정책 : 한시적-영주이민 연계와 ‘의도하지 않은’ 결과들
민족연구
2021 .09
호주의 2단계(two-step) 이민정책의 성과와 정책적 함의: 임시근로비자, 워킹 홀리데이 및 유학생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2023 .04
‘이민 2세대 한인교회’에서의 여성 : 미국 캘리포니아 주를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2016 .06
Language Maintenance and Shift in the Korean Community in Australia - A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Latest Census -
언어사실과 관점
2018 .01
한인과 일본인의 멕시코 이주 - 20세기 초기 계약이민의 비교 -
한민족문화연구
2020 .01
Ob-gyn, Succour, Micro-Welfare, and Industrial Training : Australian Social Rehabilitation Campaign in Post-war Korea (1954-1960s)
한국민족문화
2016 .11
코로나19와 중남미 한인사회: 멕시코와 브라질의 경험
재외한인연구
2022 .02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호주와 영국의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대한 정책 비교 - 일본의 군사력 억제, 중국 면화 시장 장악, 그리고 제국의 몰락을 방지하고자 한 욕망 사이에서 -
영토해양연구
2022 .12
러시아 극동 소련 한인의 중앙아시아 강제이주 계획과 이주 과정 - 1937년 이주문서를 중심으로 -
재외한인연구
2021 .02
British Emigration to Colonial Australia in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ory and Practice
史叢(사총)
2022 .09
An Australian View of the Pusan Political Crisis in Korea, 1952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5 .02
중남미 이민과 한국의 재외동포정책
민족연구
2018 .01
하나님께서 전 세계에 흩으신 한인 디아스포라교회들을 통해 일하시는 손길: 카나다와 호주 한인 디아스포라교회들을 통해 시작하게 하신 새로운 개척사역 모델들
미션인사이트
2016 .02
아르헨티나 한인들의 한글문단 고찰
우리문학연구
2015 .04
`미국의 애완견`에서 벗어나려는 호주
인물과사상
2017 .03
또 다른 경로의 통합: 호주의 재정착난민제도와 카렌족 난민들의 통합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인류학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