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ntroduction
Political Machinations for Perpetuation
The Mobilization of Government-Fabricated Public Opinion
The Proclamation of Martial Law and Arrests of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Syngman Rhee’s Political Success and the Retreat of Democracy
Conclusion
References
〈Abstract〉
〈국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호주가 타들어가고 있다.
제3시대
2020 .01
미군정기 이승만의 방미외교에 대한 재평가 : 이승만 사상과의 연관성을 통하여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7 .12
Ob-gyn, Succour, Micro-Welfare, and Industrial Training : Australian Social Rehabilitation Campaign in Post-war Korea (1954-1960s)
한국민족문화
2016 .11
1948-1953년 이승만의 양원제 도입 시도와 그 귀결
역사와경계
2023 .12
한국전쟁 전후 이승만의 사적통치기반 형성과 변화
역사학연구
2021 .01
장제스의 친중정부 수립 구상과 이승만(1945~1947)
동북아역사논총
2020 .12
호주 한인 ‘1세대’의 이민에 대한 연구 -이주체계접근법과 이민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인문과학
2017 .01
해방정국 이승만-김구-이광수의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김일성의 적화통일 야욕
춘원연구학보
2016 .12
이상재와 이승만 : 개화・선교・독립을 위한 협력과 후원 관계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19 .01
이승만 정부의 공보실 설립과 운영(1955-1960)
역사문화연구
2022 .08
‘하야’에서 ‘망명’으로 - 4월혁명기 이승만의 ‘하와이행’ 과정과 성격
역사학보
2025 .03
이승만의 북진통일 주장과 외교적 영향— 1954년 제네바 회담을 중심으로 —
사림
2024 .04
제2의 반탁운동과 1947년 초 국내 정치세력 동향
숭실사학
2017 .01
이승만 정권기 지방선거 결과를 통해 본 지방자치제의 의미
역사와경계
2022 .12
이승만의 자기인식과 권위주의의 정당화 (1945.10–1950.6)
한국철학논집
2022 .02
제헌의회기 이승만의 정당설립 시도와 대한국민당
한국사연구
2016 .06
여순사건 이후 한국군의 변화와 ‘정치화’
史叢(사총)
2020 .01
태평양전쟁 시기의 이승만의 대미 외교활동에 미친 제랄딘 피치(Geraldine T. Fitch)의 역할
한국교회사학회지
2018 .12
마사릭과 이승만의 민주주의, 기독교 그리고 공산주의에 대한 인식
동유럽발칸연구
2018 .01
한국전쟁기 중국군에 대한 이승만의 인식과 대응
역사비평
2022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