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도종윤 (제주평화연구원)
저널정보
한국지방정치학회 한국지방정치학회보 한국지방정치학회보 제7권 제2호
발행연도
2017.1
수록면
47 - 70 (2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공공외교는 소위, 소프트 파워라고 불리는 한 국가가 가진 매력을 대외적으로 발산시키고자 하는 정책이며, 문화외교는 공공외교의 한 분야로 간주된다. 프랑스는 공공외교를 문화외교 차원에서 주목하여 볼만한 국가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국가의 정체성 확보는 물론, 세계 문화의 교류와 확산에 기여할 것을 정책의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소프트 파워로서 공공외교 및 문화외교에 대해 이론적인 논의와 실천적 사례들을 검토해 살펴보고, 한불 관계에서 프랑스의 대한 문화외교가 제도적, 기술적 차원에서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몇몇 공식 문건들을 분석해 본다. 여기서 이 글은 두 가지의 답을 얻었다. 첫째, 프랑스는 이미 2000년대에 ‘확산’, ‘다양성’, ‘역량 구축’ 등의 원칙을 통해 낡은 자문화 정체성을 일소하고 문화를 교류와 존중의 측면에서 상호 공유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한국과의 관계에서는 이를 제도적으로 담는 노력이 보다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프랑스는 자신의 문화 전파 뿐 아니라 상대방의 문화를 수용하고, 저개발국의 문화적 잠재력을 키우는 데 기여하겠다는 방침을 두고 있다. 이러한 프랑스의 문화 외교정책은 최근 외교정책의 새로운 분야로 떠오르고 있는 공공 외교정책의 수립에 함의를 준다. 문화를 단지 국가의 이익 추구를 위해 기능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닌, 문화를 통해 인류의 공공 이익에 기여한다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