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80년대 대구지역 진보적 연극운동의 형성- 극단 시인과 놀이패 탈을 대상으로
어문론총
2015 .09
1920년대 카프 계열 극단의 번역극 공연인식과 그 의미
어문학
2015 .09
근대이후 유랑극단의 공연활동 : 1950년 이후 ‘포장극단’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2015 .05
1950년대 전후 포장극단의 연희활동으로 본 대본의 특성과 유성기음반
공연문화연구
2017 .08
第二言語習得における学習者の情意要因 : 中国人日本語学習者の第二言語不安の実態を中心に
일본문화학보
2016 .05
‘만주국’의 문화통치정책과 연극 활동의 변화 양상 - 중국인 연극을 중심으로 -
국제한인문학연구
2016 .08
일본 프롤레타리아 연극 전성기의 담당자 : 사노 세키와 무라야마 도모요시의 협동 작업을 중심으로
일본문화연구
2015 .07
Three Lear Productions in early 2000s’ Korean Cultural Landscape
Shakespeare Review
2015 .03
희곡 낭독 교육의 연극 교과와의 연계 가능성 - 말(대사)의 연극적 표현력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2023 .03
대한제국기 한성부의 연희문화와 연희공간의 조직
[TCHCCOS] 서울과 역사
2016 .02
18 · 9세기 동아시아의 대중 연희예술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5 .10
1960년대 한국 연극 예술의 정체성과 상업성 담론
한국문학논총
2021 .12
일제 강점기 대중극단의 순회공연 방식과 체제에 대한 일 고찰 : 1930년대 후반 동양극장 순회공연 체제를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7 .12
柳永 詞의 희극적 면모
중어중문학
2019 .03
김지하 희곡 <진오귀> 고찰
한국현대문학연구
2018 .12
이현화의 희곡 <카덴자>와 <오스트라키스모스>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성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023 .03
전라 문화권의 동일 무업권과 특징
남도민속연구
2022 .12
김수영 시의 연극적 요소와 영화 경험의 재현성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24 .12
관객의 몸-마음에 호소하는 An Oak Tree의 대사 전략
현대영미드라마
2022 .12
조선 후기 연희 문화의 독자적 면모-공연 공간을 중심으로-
반교어문연구
2024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