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본 중세 문학에서의 재해
日本學硏究
2021 .01
수변지역 자연재해 경감을 위한 구전 속설 Risk Communication자료의 정보전달 기능에 관한 연구 : 일본 사이타마현을 중심으로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8 .04
전근대 한국 문학 속의 자연재해 ―18세기와 19세기의 자연재해를 중심으로―
日本學硏究
2018 .01
高麗前期 異變現象 기록을 통해본 災異觀과 위기인식 : 『高麗史』 五行志 기록을 중심으로
역사와 담론
2016 .10
일기류 자료를 통해 본 조선시대 자연재해와 고기후의 복원 방안
퇴계학논집
2017 .01
일본: 자연재해와 그림책
창비어린이
2018 .12
고대 중국의 재난관 형성과 변화 연구 ― 재이(災異)를 넘어 재난으로 ―
동양철학연구
2021 .08
동아시아 전통사회의 재이 DB 구축과 그 의미
역사와실학
2021 .08
재난의 양상과 재난인문학의 필요 - 세월호 참사 치유시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25 .03
Nothing Disappeared: The Representation of Disaster Trauma and Testimony as the Image
Journal of Humanities Therapy
2021 .12
‘재난약자’ 담론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우리말연구
2021 .01
위험 시대 "재난"과 정치적 책임
철학연구
2015 .03
교통사고 : 근대의 재해, 도시의 재해
문화과학
2016 .09
신카이 마코토의『너의 이름은.』에 나타난 재해
일본문화학보
2018 .11
불교 수용 후 신라의 자연재해와 불교적 대응
역사와경계
2021 .09
CHRISTIAN RESPONSES TO CATASTROPHES: RE-EVALUATING MODERN SO-CALLED EVANGELICAL RESPONSES WITH A BIBLICAL LENS
장신논단
2020 .11
民國시기 재난에서 민간신앙과 정치
중국사연구
2022 .12
한국과 남아메리카 구비설화에 나타난 자연재난 인식의 메커니즘
문학치료연구
2017 .01
조선후기 강원도 자연재해와 진휼곡의 조달 양상
국학연구
2023 .11
재난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코로나19 관련 정례브리핑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언어문학
2022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