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는 오랜 역사에 걸쳐 자연재해에 대응하였다. 그러나 오늘날까지도 인류는 자연재해에서 자유롭지 않다. 근대 이전 동아시아 전통사회에서는 자연재해 뿐만 아니라 일식, 월식, 혜성의 출현, 기형아와 쌍둥이 출산 등을 정상적인 자연 현상으로 보지 않았다. 그리고, 이는 중국과 한국의 정사(正史) 기록에서 ‘재이(災異)’라는 용어로 개념화되었다. 전세계적으로 환경사에 대한 관심은 이미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많은 연구자와 기관에서 다양한 형태의 DB가 생산되고 서비스되고 있다. 이는 재이에 관심을 갖는 인문학과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여러 분과 학문에서의 연구가 질적으로 향상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동아시아로 좁혀보면, 중국은 이미 방대한 자료를 종합하여 여러 형태의 DB를 구축하였으나, 한국에서는 일관된 기준 아래 종합적인 성격의 DB가 구축되지 않았다. 비록 중국의 재이 관련 DB가 국외 연구자들의 접근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고 해도, 이는 중국과 한국의 재이 연구를 위한 환경에서 매우 큰 격차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필자가 소속된 가톨릭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에서는 인문학과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재이와 관련한 분과 학문의 관심사를 모두 모아, 종합 학문으로서의 “재해학”의 형성과 구축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 첫 번째 단계로 한국과 중국 등 동아시아의 전통사회를 배경으로 재이 DB를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팀은 한국과 중국의 정사, 연대기자료, 일기류, 공문서, 금석문 등에 흩어져 있는 재이 관련 자료를 종합하고 용어를 표준화하고, 연구자와 대중이 중국과 한국의 재이 발생과 전개를 상호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재이 DB를 구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재이 관련 연구가 앞으로 확대 재생산될 수 있을 것이며, 재이 연구의 새로운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Human beings have responded to natural disasters for a long time in history. Nevertheless, human beings are not free from natural disasters even today. Before modern times, East Asian traditional society didn’t consider solar eclipse, lunar eclipse, appearance of comet and birth of deformed and twin children as normal natural phenomena as well as natural disasters. This was conceptualized as the term ‘natural disaster(Jaei災異)’ in Chinese and Korean authentic history. The interest in environment history is increasing in the world, and many researchers and institutions produce various types of DB and provide service. This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qualitative improvement of research in many divisions such as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that pay attention to natural disasters. When narrowed in East Asia, China already established various types of DB by integrating massive material, but Korea hasn’t established comprehensive DB under the consistent standard. Although the DB of China regarding natural disasters is not easily accessible for overseas researchers, this can be a big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environment to study natural disasters of China and Korea. Therefore, Humanities and Social Institute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which I belong to, is conducing research to form and establish ‘Disaster Studies’ as a comprehensive study by gathering matters of interest related to natural disasters from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The first stage is to establish DB of natural disasters with the background of East Asian traditional society such as China and Korea. The establishment of natural disaster DB is to integrate natural disaster related resources that are scattered in Korean and Chinese history, chronicles, diaries, public documents and epigraph materials, to standardize terms and to compare the occurrence and development of natural disasters in Korea and China. Through this, natural disaster related research is expected to be expanded and reproduced, and to become an opportunity of new development in this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