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서론
2. 텍스트 분석을 위한 SFL의 이론적 전제
3. 텍스트 분석에서 SFL의 가치와 성과
4. SFL 활용 한국어 텍스트 분석의 과제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체계기능언어학(SFL)을 통한 국어교육의 지평 확장
국어국문학
2022 .09
할리데이의 생애를 통해 본 체계기능언어학의 특징
한국어학
2021 .11
체계기능언어학(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담화분석과 신약성경해석 언어학적 : 방식의 유용성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사례연구
신약연구
2023 .06
체계기능언어학적 텍스트 분석을 위한 동성 체계 기초 연구 -과정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2020 .05
인지언어학 이론을 적용한 연구 동향 분석 - 국어학, 대조언어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분야의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21 .11
인공지능 시대의 언어학 이론의 기반, Firth(1957)의 이론과 21세기 언어학의 창조적 수용 양상
동서인문
2021 .04
구약성경 석의와 텍스트언어학 적용의 예(시편 23편) : 그 유용성을 찾아서
ACTS 신학저널
2019 .01
SFL, an Empowering Tool for Translation Studies
번역학연구
2016 .10
언어학과 국어학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9 .12
텍스트언어학은 시민 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 : 텍스트언어학을 활용한 시민 교육에 대한 제언
수사학
2018 .09
정보전달 텍스트의 기계번역과 체계기능언어학적 고찰 : 논리적 의미(구성/구조적 메타기능)를 중심으로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17 .10
사회언어학 발달 과정과 역사사회언어학 개념 정립을 위한 시도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2 .04
체계기능언어학(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레지스터(Register) 모드(Mode) 분석과 공관복음 형성 과정 : 공관복음 성찬 본문의 언어학적 분석과 함의
신약연구
2024 .09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as a Macro-sociolinguistics Framework : The Stages of Development
언어학 연구
2016 .01
중학교 『국어』 ‘문법’ 영역 교육 내용의 인지언어학적 제안
동서인문학
2017 .06
체계기능언어학 기반 한국어 양태 표현 연구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22 .12
SFL 기반 한-영 쓰기방식 차이에 대한 인식 함양 및 문학번역을 위한 교육적 함의
번역학연구
2018 .12
Knowledge Mapping and Research Trends in Russian Linguistics: 1992-2021
노어노문학
2022 .09
Learning How to Re-Mean: Developing Paraphrasing Materials from an SFL Perspective
Journal of Asia TEFL
2022 .03
광복 70년, 국어학의 여정과 통일 좌표
국어국문학
2015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