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춘천 중도유적 보존을 위한 시민운동 과정과 방향 연구
仙道文化
2021 .01
춘천 중도 호반관광지 개발의 환경영향 등 연구
仙道文化
2021 .01
고조선과 주변지역 옛 사람 및 동물뼈 연구를 위한 고고과학적 연구방법론 검토
백산학보
2021 .08
보존유적 현황과 문제 인식을 통한보존조치 제도 연구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20 .01
3차원 Scanning 및 GPS를 이용한 고조선시대 유적의 공간연구
유라시아문화
2021 .02
한반도 선사시대의 제정분리(祭政分離) 양상에 대한 일 고찰 -중서부지역을 중심으로–
선사와 고대
2021 .01
고려시대 관련 고고학의 연구 성과와 전망
사학연구
2018 .12
서울 동남권 지역의 청동기시대 문화유적 경관 검토
[TCHCCOS] 서울과 역사
2023 .06
부여 송국리 유적의 보존과 활용 방안 연구
건지인문학
2023 .02
2016년 호서지역 원삼국∼백제의 고고학 조사·연구성과
백제학보
2017 .01
건축적 관점에서 본 발해유적에 대한 한국의 연구동향 (2012년 이후)
고구려발해연구
2022 .11
북한강 유역 청동기시대 대형 취락의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청동기학보
2023 .04
건축적 관점에서 본 발해유적에 대한북한의 연구동향
백산학보
2015 .01
중국 소재 고구려 유적의 조사 현황과 활용 방안
동북아역사논총
2024 .06
위진남북조시기 중국의 코리안 디아스포라 : 고조선 · 고구려 · 부여계 이주민 집단 연구
한국사학보
2018 .08
한국 신석기시대 사회관계망분석(SNA)을 위한 예비검토
고고학
2019 .01
Investigation, Interpretation, and Research on a Bronze Age Site on Jungdo: Culture, Chronology, People, and Society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2 .06
부산지역 고려유적의 발굴성과와 그 해석
항도부산
2024 .01
묘제를 통해 본 고조선과 전북
고조선단군학
2022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