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동인 (서울대학교)
저널정보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율곡학연구 율곡학연구 제44권
발행연도
2021.1
수록면
349 - 390 (4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동한말(東漢末)에 살았던 정현(鄭玄)의 참위이해와 그 사회·정치적 의미를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의 애초의 문제의식은 한대의 금·고문경학을 종합한 대유학자 정현이 ‘무엇 때문에 굳이 참위설로 경전을 주석하고, 또 참위서에 주석을 달았는가’하는 것이었다. 정현의 참위주(讖緯注)와 참위이용이 정현 유학을 도리어 퇴색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구결과 정현이 참위로 경전을 주석하고, 참위서에 주석을 달 수 밖에 없었던 사회·정치적 이유를 발견했다. 우선 정현 당시는 서한(西漢) 이래로 경전을 가지고 국가 중대사를 결정하고 실행하는 유교국가였지만, 경전의 내용만으로는 다변화하는 사회·정치적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참위로 신(新)을 건국한 왕망(王莽)과 동한을 건국한 광무제(光武帝)가 참위를 지극히 존숭한 이래로 왕공대인으로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동한대의 수많은 사람들이 참위를 도리어 경(經)보다 더 우위에 두었기 때문이다. 백성들이 참위를 도리어 내학(內學)으로 존숭했기 때문에 참위설이 백성들을 설득하는데 더 유용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동한은 중·후기로 가면서 거듭 어린황제가 등극하면서 외척과 환관들이 득세하고, 이들의 전횡으로 민생은 도탄에 빠져 있었다. 정현이 보기에 이러한 상황에서 외척과 환관의 전횡으로부터 황제의 절대권을 옹호하고, 또 유한정권의 정당성을 보장해 줄 수 있는 가장 유용한 수단이 참위설이었다. 정현이 필자가 본문에서 다룬 감생제설과 오행상생설 및 도기이원론적 우주론에 관심을 기울인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참위서에는 수명군주나 성인 및 수명군주의 스승들에 대한 특이한 탄생설화들이 매우 많은데, 복희·황제·요임금·탕임금 등에 대한 탄생설화가 그것이다. 물론 참위서에서 이들 수명군주의 특이한 탄생설화를 강조한 것은 한고조 유방이 한나라를 건국한 정당성과 유한정권의 백성통치의 정당성을 간접적으로 보장해주기 위함이었다. 공자의 탄생을 신화화한 이유도 그가 한나라를 위해 제도를 입안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정현은 참위서의 이러한 감생제설을 자신이 경전을 주석하는데 그대로 활용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모시???상송·현조?편이다. 정현은 ?상송·현조?편을 주석하면서 ??모전(毛傳)??과는 다르게 참위설에 근거하여 탕의 시조 설(契)의 난생설화를 수용하였다. 그리고 참위설처럼 탕을 흑제에 감응하여 태어난 수명군주로 인정했다. 그래야 동한말의 정국에서 절실히 요청한 오행상생설을 옹호하는 논리가 되기 때문이었다. 한편 정현은 ??역위건착도?? 상·하를 통해 ??역위건착도??의 도기이원론도 수용했다. ??역위건착도??는 도가와 ??주역??의 우주론을 융합하여 형이상의 태역과 형이하의 태초(氣)·태시(形)·태소(質)를 구분했다. 그럼으로써 선진이래로 도기이원론적 우주생성론이 가진 봉건등급질서 옹호의 원리를 답습했다. 당시 도기이원론적 우주생성론은 우주발생의 첫 자리인 ‘도’를 신비화시켜 사회·정치적으로 그 위치에 해당하는 황제의 절대권을 확보해주는데 활용되었다. ??역위건착도??는 바로 이러한 원리를 그대로 적용하여 ‘태역’의 자리를 그 나머지 자리와 구분함으로써 황제절대권을 옹호해주고 있다. 정현이 ??역위건착도??를 주석하면서 그 원래의 의도대로 도기이원론을 수용한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정현은 단지 여기에만 그치지 않고 ??역위건착도??보다 훨씬 치밀하게 우주생성의 논리적 과정을 재구성했다. ??역위건착도??가 양의 수인 일(一)·칠(七)·구(九)만 언급하고 있는데 비해 정현은 그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서 음의 수인 이(二)·육(六)·팔(八)까지 유추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氣)는 태초 상태뿐만 아니라 태시(形)와 태소(質)의 단계에도 그 저류에 항상 작동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모든 사물존재가 음과 양의 두 기에 의해 존재하는 것임을 밝혀내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정현의 ??역위건착도?? 주석은 정치적 목적과 철학적 목적을 동시에 달성한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