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唐 憲宗 前期의 藩鎭改革과 平盧節度使 李師道
중국사연구
2022 .04
805년 ⽇本 遣唐使의 귀국보고에 보이는 唐國 情勢 검토
중국고중세사연구
2021 .11
唐 德宗代 李納의 齊 建國과 그 性格
중국고중세사연구
2020 .05
淸朝의 北京遷都와 盛京地域
동국사학
2020 .01
당대 번진체제(藩鎭體制)를 보는 창(窓), 이정기 일가(一家) - 정병준, 『고구려 유민 이정기 일가의 번진사藩鎭史』 (동국대학교출판부, 2024) -
고구려발해연구
2024 .11
唐五代 藩鎭 硏究에 대한 최근의 논평을 읽고
중국고중세사연구
2017 .08
淸 初期 外藩(tulergi golo) 형성과정과 理藩院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5 .01
‘종번(宗藩)’ 해석과 중국 대외관계 인식
동북아역사리포트
2022 .02
1850년대 나가사키의 ‘난학(蘭學) 붐’ 실태 : 1855~56년 데지마전습(出島傳習) 참가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역사학보
2018 .03
19세기 전 · 중반 사무라이의 정치화와 ‘學的 네트워크’ : 미토번과 사쓰마번을 중심으로
동양사학연구
2015 .09
唐 德宗代 四王二帝의 亂과 그 限界
동양사학연구
2016 .12
唐 憲宗 초기 淮西 藩鎭의 地域割據 -吳少陽의 행동을 중심으로
중국사연구
2021 .12
1850년대 諸藩의 海防참여와 幕藩체제의 동요 : 나가사키‘해군’전습 참여기준논의와 실제참가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동양사학연구
2017 .09
唐・五代 藩鎭에 대한 인식
중국고중세사연구
2022 .02
문헌기록을 통해 본 조선시대 직업화가의 성격과 평가
민족문화
2017 .06
唐代 都護府 중심 邊疆藩屬 관리체제의 형성
고구려발해연구
2015 .11
唐代 平盧軍의 分化와 神策軍 配屬 ― 楊惠元의 活動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연구
2023 .11
海洋都市下関と朝鮮半島-朝鮮通信使を中心として-
인문사회과학연구
2019 .01
청말 국제법 번역과 ‘藩屬’ 관련 개념의 의미 확장
중국근현대사연구
2018 .12
唐 德宗代 淮西節度使 李希烈의 稱帝와 그 性格
중국사연구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