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지선 (서울아산병원 병리과) 강효정 (강동경희대병원 병리과) 조의리 (서울아산병원) 송민정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강동경희대학교병원 병리학교실) 남순열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송준선 (울산대학교)
저널정보
대한병리학회 Journal of Pathology and Translational Medicine Journal of Pathology and Translational Medicine 제55권 제3호
발행연도
2021.1
수록면
230 - 234 (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Hepatoid thymic carcinoma is an extremely rare subtype of primary thymus tumor resembling “pure” hepatoid adenocarcinomas with hepatocyte paraffin 1 (Hep-Par-1) expression. A 53-year-old man presented with voice change and a neck mass. Multiple masses involving the thyroid, cervical and mediastinal lymph nodes, and lung were detected on computed tomography.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as confirmed by biopsy, and the patient underwent neoadjuvant chemoradiation therapy. However, the anterior mediastinal mass was enlarged after the treatment whereas the multiple masses in the thyroid and neck decreased in size. Microscopically, polygonal tumor cells formed solid sheets or trabeculae resembling hepatocytes and infiltrated remnant thymus. The tumor cells showed immunopositivity for cytokeratin 7, cytokeratin 19, and Hep-Par-1 and negativity for α-fetoprotein. Possibilities of germ cell tumor, squamous cell carcinoma, and metastasis of thyroid papillary carcinoma were excluded by immunohistochemistry. This report on the new subtype of thymic carcinoma is the third in English literature thus far.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1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