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주희, 상수
자음과모음
2016 .06
주희의 직업사상
한국사상과 문화
2015 .01
朱子의 人心道心說에서의 理氣 문제와 조선 유학자의 해석
퇴계학보
2019 .01
『맹자』의 주요 개념에 대한 정도전의 이해
태동고전연구
2016 .12
지식사회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주희 격물론
대동철학
2020 .01
주희의 의리관義利觀
안동학
2017 .12
A Composite Centrality: Interpreting Centralitywithin Zhu Xi`s Zhongyong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2017 .08
주희 신유학(新儒學)의 관점에서 본 노사 기정진(蘆沙 奇正鎭)의 이기론
동양철학
2015 .01
왕수인 심즉리의 현상학적 의미
양명학
2016 .04
Zhu Xi’s Perspective on Origin of Evil and Jeong Yakyong’s Criticism of the Theory
동양문화연구
2019 .01
공자 생지설에 대한 주희의 교육적 고려
동양고전연구
2024 .03
남송대 朱熹의 대외인식과 화이론
이화사학연구
2020 .01
주희 이고(李?) 멸정론(滅情論) 비판의 타당성 재고
유학연구
2021 .01
퇴계 성리학에서 敬의 의미와 실천법: 敬의 四條說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퇴계학보
2018 .01
왕수인이 제시한 마음공부의 도덕교육적 해석
철학논총
2017 .10
朱熹 『理一分殊』 的<西銘> 詮釋模式再考察
철학연구
2017 .02
주희의 <참동계고이> 저술과 그 배경
태동고전연구
2016 .01
『論語』 ‘子夏之門人小子’장에 대한 朱熹의 사유전환
동양고전연구
2020 .01
이언적(李彦迪)의 『대학(大學)』 이해- 『대학』 편장 개정과 격물치지(格物致知) 개념을 중심으로
대동철학
2018 .06
李睟光(1563~1628)과 鄭經世(1563~1633)의 道文論과 사상적 차이
한국한문학연구
2021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