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혜수 (부산대학교)
저널정보
한국공자학회 孔子學 孔子學 제43호
발행연도
2021.1
수록면
243 - 278 (3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근현대 한국 성리학을 대표하는 간재(艮齋) 전우(田愚, 1841-1922)의 제자, 입와(立窩) 김종연(金鍾淵, 1898-1980)의 삶과 그 성리학설 특징을 검토한 연구이다. 김종연은 나라를 상실한 암울한 시대 상황에서도 전우의 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배운 간재학의 계승자이다. 그의 성리학설은 ??立窩集??을 통해서 드러나는데, 김종연은 조선 기호학파 낙론계의 정론으로 간주되는 ‘이무위(理無爲)·기유위(氣有爲)’와 ‘성즉리(性卽理)’, 그리고 ‘심시기(心是氣)’를 학문의 기반 및 사상의 전제로 삼고, 스승 전우의 ‘이(理)·기(氣) 상호 주재’와 ‘성사심제(性師心弟)’, ‘성존심비(性尊心卑)’ 등의 사상을 적극적으로 계승하면서, 자신의 성리학설을 윤리학적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그는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신의 기질(氣質)로부터 분출되는 인욕(人欲)을 견디어내는 ‘인(忍)’ 공부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김종연의 ‘인(忍)’ 공부는 자신이 처한 어려운 현실에서도 기질적 욕망을 끝까지 견디어 극복함으로써 정의롭고 도덕적인 심(心)을 완성하는 현실적이면서도 실제적인 수양공부였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