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머리말
2. 捉鯨 구경
3. 遊廓이 있는 市中 徘徊
4. 호행으로부터의 ‘메시하나치(召放)’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후기 尊皇思想의 전파와 天皇制 인식의 변화
서강인문논총
2015 .12
朝鮮通信使와 對馬島의 關係
日本語敎育
2017 .01
조선통신사와 일본의 초등교육 - 해방 이전 국정교과서를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
2024 .02
에도시대 지지(地誌) 자료와 조선통신사 - 명소 안내서로 보는 일본인의 조선 인식 -
일본어문학
2024 .08
1763년 계미통신사가 경험한 시공간의 변화와 생활상
한국한문학연구
2020 .01
무진(1748)년 信使記錄의 구성과 對馬藩의 御用向
한일관계사연구
2020 .08
조선통신사축제의 활성화 방안 연구 - 학문 연계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문화
2023 .03
조선통신사를 통해 본 조선 후기 한일 의학교류의 변화 양상: 통·번역 관점에서 본 의사문답(醫事問答)을 중심으로
통역과 번역
2024 .08
正祖代 대마도 易地通信 교섭과 ‘江戶通信’ 연구
한일관계사연구
2015 .12
1719年朝鲜通信使与中国的倭情探侦
연민학지
2021 .08
조선후기 통신사행록 속에 나타난 전쟁의 상흔, 그리고 부산
한국문학논총
2020 .01
통신사 수행 하관에 관한 연구
日本思想
2024 .04
1746년 관백승습고경차왜 접대-종가문서로 보는 다례 이후-
열상고전연구
2018 .01
1607년 일본 사행록 『해동기(海東記)』 저자에 관한 시론(試論)
열상고전연구
2021 .10
조선통신사 행렬 안내서 연구 - 기쿠야판 안내서를 중심으로 -
인문연구
2021 .03
『辛未通信日錄』을 통해 본 1811년 通信使船의 構造와 積載物品 硏究
민족문화
2021 .07
조선통신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을 활용한 역사문화콘텐츠 원형복원 사례연구
항도부산
2021 .08
조선통신사 정사기선에 관한 연구
해양문화재
2018 .01
통신사의 사행록을 통해서 본 조선 지식인의 대마도인식과 그 추이(推移)
한일관계사연구
2022 .02
18세기 중반 이후 통신사행 회화 자료의 특성
한일관계사연구
2020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