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생명으로서의 맹세와 질서로서의 처벌
3. 이행되지 않는 맹세와 처벌 없는 세계
4.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못 들은 척과 침묵 - 김유정 문학에서 듣기의 양상과 그 의미
현대소설연구
2022 .12
김유정과 그의 벗, 현덕의 문학 연구 - 들병이 소설과 「두포전」을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
2019 .01
제네바선언과 현대생명윤리
신학지남
2015 .06
「壬申誓記石」의 제작 시기와 신라 중고기의 儒學 이해에 대한 재검토
목간과문자
2019 .06
구비설화에 나타난 의형제 결의와 의절 서사 연구
고전문학연구
2021 .12
모더니즘의 시선으로 이상의 「김유정」 읽기
구보학보
2017 .06
김유정 소설의 문화산업적 활용 방안 고찰
비평문학
2016 .12
Implications of the Hippocratic oath ceremony for holistic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인간연구
2020 .12
히포크라테스 의학의 과학적 방법론과 생명윤리학적 함의
생명연구
2017 .11
현진건 소설과 맹세의 인간학
춘원연구학보
2019 .08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맹세(盟誓)
동아인문학
2021 .12
김유신 관련 사료를 통해 본 시기별 인식
동양고전연구
2018 .01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연민의 서사’ 연구 : 마사 누스바움의 ‘감정론’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018 .09
주희(朱熹)의 중(中)개념 연구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7 .03
한국어 ‘X+중(中)’ 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
2022 .08
김유정 소설에서의 반전과 감정의 정치학
한중인문학연구
2017 .01
1920년대 민중 담론과 사실주의 희곡의 변곡점 -김유방, 김정진의 작품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2019 .01
유상현 교수의 신학 세계 - 삶과 영혼의 자유를 추구하는 신학 -
신학논단
2020 .03
‘적대적 협력’의 이중성이 쌓아 올린 댐: 김대중 정부 시기 평화의 댐 증축사업
한국과학사학회지
2023 .04
1930년대 향토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인물형상 비교 연구 -김유정과 沈從文의 소설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2023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