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벼리
1. 저자 및 서지 사항
2. 품사 분류 및 기술 양상
3. 내용 구성 및 기술 양상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근현대 일본인 대상 한국어 학습서의 총체적 접근과 분석
겨레어문학
2018 .01
근대 이후 간행된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서의 변천과정과 문법 내용 연구
우리말연구
2016 .01
근현대 서양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학습서의 총체적 접근과 분석 - 한국어 인식의 차원에서 구체화에 이르기까지 -
영주어문
2021 .10
조선 후기의 중국어 학습서에 대하여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5 .07
19세기말 일본어 학습서 『日語工夫』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20 .12
박중화의 한·일 학습서에 나타난 문법 기술 고찰 -문자와 발음 및 음운 현상을 중심으로-
한글
2022 .09
한국어 학습서 ‘Fifty helps’의 수정 양상 연구
언어사실과 관점
2024 .05
근현대기 일본문법서에 나타난 품사 분류 체계와 품사명의 추이에 대하여 - 에도와 메이지기 자료를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연구
2016 .12
20세기 초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회화 학습서 연구
어문논집
2015 .01
退溪 文集의 정본 편성 과정에 대한 일 고찰- 惺齋手筆 『退溪先生書』에 수록된 자료들을 중심으로
퇴계학논집
2015 .01
외국어 학습서로서의 『청어노걸대』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5 .07
품사분류 연원과 중국어 품사분류 발전과정
중국언어연구
2016 .01
개화기 일본식 한자어를 통한 신문물 유입에 관한 연구 -일본인 편찬 일본어 학습서의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3 .04
『국어문법』(1910)의 문장론과 외국인에 의한 근대 한국어 학습서의 비교
한국어학
2020 .08
1910년대 품사 연구
한국어학
2020 .08
품사 통용어 교육을 위한 품사 개념 및 품사 통용어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
언어학 연구
2016 .07
조선 후기의 漢語 학습서와 훈민정음의 사용
한국실학연구
2015 .01
『唐話纂要』의 脣音 小考 ― 중국 남방 방언과의 비교를 통해
중국어문학지
2021 .01
근대 시기 외국어 학습서에 나타난 신지식의 수용과 재생산 - 송헌석의 저술을 중심으로 -
인문사회과학연구
2020 .01
기축옥사(己丑獄事)와 조선후기 서인(西人) 당론(黨論)의 구성, 전개, 분열 -노(老)・소(小) 분기 과정에서 성혼(成渾)에 대한 논란과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