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Introduction
Human Rights Discourse around the Comfort Women
Comfort Women, Nationalist Conflict, and Security Discourse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Reading the “Comfort Women” in Cloud Atlas: A Comparative Approach
동서비교문학저널
2019 .09
The Gap Enlargement Mechanism between Korean-Japanese Perceptions: Focusing on the Comfort Women Agreement (2015.12.28)
Korea Observer
2017 .09
조선인 위안부의 연애=사랑을 둘러싼 정치 –식민주의적/민족적 욕망의 미디어로서의 ‘위안부’–
일본연구
2015 .01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탈진실 정치 - 아베 정권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21 .03
재일 작가의 ‘위안부’ 표상 —8월의 저편(8月の果て)과 다시 오는 봄(巡りくる春)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2019 .01
Going Selective? British Media’s Coverage of the Comfort Women
Korea Journal
2021 .03
일본군의 성폭력에 대한 一考察 : 中國山西省피해자의 구술을 중심으로
사학연구
2015 .12
현대 일본의 ‘애국여성’과 ‘반(反)위안부’ 활동
역사비평
2018 .05
“Good” Comfort Women Novel? Ethics and Representational Tactics of Korean Comfort Women Novels in English
영미문학페미니즘
2016 .01
‘미군 위안부’ 소재 희곡/연극에 나타난 하위 주체의 기억과 정동의 정치 ─ 이양구의 ‘일곱집매’와 ‘문밖에서’를 중심으로 ─
국어문학
2023 .07
Korean Wartime ‘Comfort Women’ and Japan’s National Responsibility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21 .06
The Butterfly Effect on Human Rights and Democracy: Perceptions of the Comfort Women Issue in French Journalism
Korea Journal
2021 .03
일본군 위안부의 ‘주체화’에 관한 고찰
日本思想
2020 .01
Vacillating between the US-centered and UN-centered Security Postures: Japan’s Reconstruction of Post-Cold War Strategic Identity in the 1990s
동아연구
2017 .02
최근 일본군 ‘위안부’ 영화의 냉전 체제 재현 방식 : 「아이 캔 스피크」와 「허스토리」
여성문학연구
2022 .04
경계에서 출발해 경계를 넘어: 1990년대 일본군 ‘위안부’ 운동의 초국적 연대를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2018 .01
중국 자이융밍(翟永明) 시의 ‘검은 밤의 의식’과 죽음 콤플렉스 ―연작시 “여인”을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2024 .09
한일 위안부 외교의 역사와 쟁점
역사연구
2021 .09
‘위안부’와 ‘종군위안부’, 일본 역사교과서의 선택은?
역사와교육
2021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