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헌법 제6조 제1항의 의의
Ⅲ. 헌법재판소 결정 속의 국제법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07. 12. 27. 선고 2007도7941 판결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으로부터 양심적 병역거부권이 당연히 도출되는 것은 아니지만, 위 규약 제18조 제1항에는 종교나 신념에 기한 결정을 외부로 표현하고 실현할 수 있는 자유도 함께 포함되어 있음이 문면상 명백하다. 한편, 자
자세히 보기부산고등법원 2009. 2. 3. 선고 2007나4288 판결
[1] 일제강점기에 일본 정부에 의하여 강제징용되어 일본국 내 기업에서 강제노동에 종사한 대한민국 국민이 그 기업을 상대로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 및 임금 등 청구를 한 사안에서, 그 기업이 일본법에 의하여 설립된 일본 법인으로서 그 주된 사무소를 일본국 내에 두고 있으나 대한민국 내 업무 진행을 위하여 설치한 연락사무소가 소 제기시에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1. 12. 13. 선고 2009다16766 판결
[1] 우리나라 영토 내에서 행하여진 외국의 사법적 행위가 주권적 활동에 속하는 것이거나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이에 대한 재판권 행사가 외국의 주권적 활동에 대한 부당한 간섭이 될 우려가 있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외국의 사법적 행위에 대하여는 해당 국가를 피고로 하여 우리나라 법원이 재판권을 행사할 수 있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9. 4. 29. 선고 97헌가14 전원재판부
가.이 사건 조약은 그 명칭이 "협정"으로 되어있어 국회의 관여없이 체결되는 행정협정처럼 보이기도 하나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볼 때에는 외국군대의 지위에 관한 것이고, 국가에게 재정적 부담을 지우는 내용과 입법사항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국회의 동의를 요하는 조약으로 취급되어야 한다.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13. 4. 18. 선고 2012나63832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8. 12. 17. 선고 97다39216 전원합의체 판결
[1] 국제관습법에 의하면 국가의 주권적 행위는 다른 국가의 재판권으로부터 면제되는 것이 원칙이라 할 것이나, 국가의 사법적(私法的) 행위까지 다른 국가의 재판권으로부터 면제된다는 것이 오늘날의 국제법이나 국제관례라고 할 수 없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약과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의 법적 효력 –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해석을 중심으로 -
법과 정책연구
2022 .12
조약 간 충돌의 해소 원리에 관한 일고 ‒1969년 조약법협약 제30조 규정을 중심으로‒
국제법평론
2023 .02
통상조약의 체결절차 및 이행에 관한 법률의 내용과 향후 개정방향에 대한 연구
한양법학
2015 .05
조약과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 : 헌법 제6조 1항 해석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
미국헌법연구
2017 .04
법원 판결을 통해 살펴 본 국제인권조약의 국내 이행- 국제인권조약의 적용 여부가 문제된 사례를 중심으로 -
법학논총
2015 .01
발트3국에 관한 조약들의 체계
EU연구
2024 .01
고시류 조약 문제의 입법적 해결 방안에 관한 고찰: 중국의 「조약체결절차법」 및 「조약체결관리방법」상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서울국제법연구
2023 .06
조약의 영국 국내법 적용: 고시류 조약 유사 관행을 중심으로
서울국제법연구
2023 .06
Institutionalising Reflection of National Elements in the International Investment Treaties, from the Public Law Perspective
유럽헌법연구
2021 .08
China's Practice in Treaty Reservations since 1949: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EAST ASIA AND INTERNATIONAL LAW
2017 .11
한국 헌법상 국제조약의 지위
저스티스
2019 .02
개헌시 국회동의 대상조약 항목의 재검토
국제법학회논총
2017 .06
조약의 국내법상 지위와 고시류조약
서울국제법연구
2015 .06
인권조약의 승계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한양법학
2019 .08
Strategically Created Treaty Conflicts and the Politics of International Law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5 .12
조세조약상 일반적 상호합의의 법적 성질과 제도적 개선방안
조세학술논집
2021 .06
조약체결절차법 제정 논의에 관한 고찰
국제법학회논총
2018 .09
국제인권조약을 원용한 법원의 판결에 관한 검토
저스티스
2015 .08
Panel 4 : Treaty Dispute Resolution
조세학술논집
2016 .06
한-미 조세조약이 정하는 ‘특허권 사용의 장소’ 개념을 둘러싼 해석론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조세학술논집
2024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