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초록
Ⅰ. 서론
Ⅱ. 여성노동 어떻게 괴로운가?
Ⅲ. 직장 내 괴롭힘의 법제화와 젠더
Ⅳ. 직장 내 괴롭힘법제화와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17. 12. 22. 선고 2016다202947 판결
[1]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2017. 11. 28. 법률 제1510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남녀고용평등법’이라 한다)은 직장 내 성희롱이 법적으로 금지되는 행위임을 명확히 하고 사업주에게 직장 내 성희롱에 관한 사전 예방의무와 사후 조치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특히 사업주는 직장 내 성희롱과 관련하여 피해를 입은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8. 7. 10. 선고 2007두22498 판결
[1] 구 남녀고용평등법(2005. 5. 31. 법률 제756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2항에서 규정한 `직장 내 성희롱’의 전제요건인 `성적인 언동 등’이란 남녀 간의 육체적 관계나 남성 또는 여성의 신체적 특징과 관련된 육체적, 언어적, 시각적 행위로서 사회공동체의 건전한 상식과 관행에 비추어 볼 때 객관적으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9. 2. 26. 선고 2008다89712 판결
[1] 민법 제756조에 규정된 사용자 책임의 요건인 `사무집행에 관하여’라는 뜻은 피용자의 불법행위가 외형상 객관적으로 사용자의 사업활동 내지 사무집행행위 또는 그와 관련된 것이라고 보일 때에는 행위자의 주관적 사정을 고려함이 없이 이를 사무집행에 관하여 한 행위로 본다는 것으로, 피용자가 고의에 기하여 다른 사람에게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7. 6. 14. 선고 2005두6461 판결
[1] 구 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2003. 5. 29. 법률 제691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2호에서 규정한 성희롱의 전제요건인 `성적 언동 등’이란 남녀 간의 육체적 관계나 남성 또는 여성의 신체적 특징과 관련된 육체적, 언어적, 시각적 행위로서 사회공동체의 건전한 상식과 관행에 비추어 볼 때 객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8. 4. 12. 선고 2017두74702 판결
[1] 성희롱이란 업무, 고용, 그 밖의 관계에서 국가기관·지방자치단체, 각급 학교, 공직유관단체 등 공공단체의 종사자, 직장의 사업주·상급자 또는 근로자가 ① 지위를 이용하거나 업무 등과 관련하여 성적 언동 또는 성적 요구 등으로 상대방에게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행위, ② 상대방이 성적 언동 또는 요구 등에 따르지 아니한다는 이유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직장에서의 괴롭힘의 법적 개념
이화젠더법학
2023 .05
일터 괴롭힘, ILO 협약과 국내 법규의 통합적 규율
노동법연구
2020 .09
성적괴롭힘(성희롱)관련 법적 쟁점
노동법포럼
2018 .11
캐나다의 성적 괴롭힘 규율과 시사점
이화젠더법학
2019 .05
리조트에서의 성희롱 예방관리
MICE관광연구
2017 .01
비서직 종사자의 성희롱 인식과 피해경험 실태조사
비서·사무경영연구
2023 .06
การคุกคามในที่ทำงาน: ศึกษาเปรียบเทียบกฎหมายแรงงานเกาหลีและไทย
한국태국학회논총
2022 .02
Prevention Strategies for Secondary Victimization of Sexual Harassment Victim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2022 .02
성희롱 인식, 자아존중감, 성역할 고정관념이 성희롱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비서·사무경영연구
2019 .03
직장 내 성희롱의 실태와 대응방안
한국범죄정보연구
2017 .01
직장 내 성희롱 피해자의 2차 피해 실태 및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022 .06
캐나다 퀘벡 주의 정신적 괴롭힘 금지법의 시사점
법학연구
2020 .03
직장 내 괴롭힘의 법적 개념과 요건
노동법학
2019 .03
직장내 괴롭힘의 ILO 협약과 권고에 관한 연구
노동법논총
2019 .12
직장에서의 괴롭힘 관련 법규에 대한 해석론과 실무상 쟁점
노동법논총
2019 .08
직장 내 성희롱 피해와 사용자책임
홍익법학
2018 .01
미국 교육부문의 성적 괴롭힘 제도
노동법논총
2021 .12
‘성 역할 고정관념’과 ‘성희롱’에 대한 고찰 — 성희롱 관련 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법학논총
2021 .01
직장 내 괴롭힘의 사후 구제제도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노동법포럼
2022 .11
성 역할 고정관념과 직장 내 성희롱 가해 경험
한국범죄심리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