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Introduction: The origin of the term Hangeul
2. Terms for the Korean alphabet: before and after 1894
3. The appearance of the name Hangeul (1910-1914)
4. James S. Gale and Korean intellectuals
5.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글 융합교육 ‘교수-학습’안에 대한 연구
한글
2018 .06
세계의 다양한 문자 속에서 한글을 바라보기
어문론총
2019 .01
문자를 소재로 활용하는 한글 콘텐츠의 양상과 가치 연구
기호학 연구
2016 .01
근대적 한글 의식의 형성 맥락과 특수성
인문학연구
2018 .01
‘한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트렌드 : 신문 빅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글
2017 .06
한글 안 해 외 1편
자음과모음
2022 .09
한국어 입문 단계 교육 자모 제시 방법 연구 -한글의 형태적 특징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21 .12
중등 국어과 교육 내용과국립한글박물관 상설 전시의 상호연관성 연구
박물관학보
2018 .01
한글소리 이름짓기의 비판적 고찰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1 .03
15·16세기의 한글 傳播 樣相
어문연구(語文硏究)
2021 .01
위당 정인보의 한글 인식과 한글 글쓰기
학림
2021 .09
전근대 시기 한글 보급의 동인과 시대적 의미
동방학지
2019 .01
한글 역사 자료에 대하여
한성어문학
2017 .02
훈민정음으로 외국어 적기의 현황과 과제
한글
2025 .03
근대 초기 기독 선교사의 한국어 및 한글에 대한 인식과, 그 영향
한국학논집
2023 .03
일제 강점기 한글 표기론과 교수 방법론의 국어교육사적 의미
어문론총
2017 .09
한글과 도시: 문자로 그려지는 도시
기호학 연구
2016 .01
『제국신문』의 국문 인식과 한글 독자(1) - ‘국문’ 표현 기사를 중심으로
동방학지
2021 .09
한글 자모의 명칭과 배열순서에 대한 역사적 연구
한국어사 연구
2016 .05
일제강점기 한글운동과 문맹퇴치(문자보급) 운동 연구
독서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