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신체들의 풍경과 피난민 여성의 이동성
3. 내면의 재건과 (피)난민 연대의 사영역화(privatization)
4.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영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전쟁기 황해도민의 서해안 피난과 전후 전라남도 정착
동방학지
2017 .01
통일의 변증법과 민족적 연대의 원칙
통일인문학
2015 .03
국제이주, 젠더, (비)이동성의 동학: 네팔 사례를 중심으로
담론201
2021 .01
스피노자의 인과론과 개체화 문제
동서철학연구
2022 .09
지역연대의 의미와 유형
로컬리티 인문학
2015 .10
한국 내 무슬림 난민의 현황, 난민제도의 이해 및 한국 기독교 교회의 과제
Muslim-Christian Encounter
2016 .03
원주 서곡 마을공동체 연대의 함의
비교민속학
2022 .04
연대의 가능성과 인간의 의무
생명연구
2017 .11
To Make Live : Representing and Protesting Refugee Agency
Localities
2016 .11
일본 난민정책과 국익의 연계
일본연구
2017 .01
동북아 연대와 협력의 패러다임 구성 : 초국적 정의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17 .06
전쟁, 소유, 박탈 : 전시 “가옥상실”과 “가옥파괴”의 자리에서
동방학지
2021 .01
동북아 난민문제의 정치외교적 대응격차
담론201
2019 .01
난민과 국민: 『난민87』과 『어느 날 난민』의 서사를 중심으로
영미어문학
2024 .03
6·25전쟁시 피난민 보호활동에 대한 연구 - 노근리사건과 흥남철수작전을 중심으로 -
군사연구
2017 .01
연대의 행위로서 ‘우리’의 시 쓰기
문학들
2022 .08
한・일 주교교류에서 실현되는 연대의 동학: ‘연대’ 신학의 중범위이론을 위하여
가톨릭신학
2017 .01
시몽동의 철학에서 개체초월성의 두 의미
철학
2018 .05
재일조선인의 이동(mobility) 경험과 기억으로 본 난민 감시와 처벌
철학∙사상∙문화
2022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