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2021
2017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기본소득 법률안 주요 내용과 의의
Ⅲ. 기본소득 원칙에 입각한 관점에서의 법률안 검토
Ⅳ. 권리로서의 기본소득수급권 구성의 관점에서의 법률안 검토
Ⅴ. 기본소득 제공 주체의 권한 관점에서의 법률안 검토
Ⅵ. 기본소득법안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16. 5. 12. 선고 2013추531 판결
[1] 구 지방재정법(2013. 7. 16. 법률 제1190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17조 제1항은 “지방자치단체는 개인 또는 단체에 대한 기부·보조·출연, 그 밖의 공금 지출을 할 수 없다. 다만, 지방자치단체의 소관에 속하는 사무와 관련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와 공공기관에 지출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9. 8. 22. 선고 2016다48785 전원합의체 판결
[다수의견]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금품이 임금에 해당하려면 먼저 그 금품이 근로의 대상으로 지급되는 것이어야 하므로 비록 금품이 계속적·정기적으로 지급된 것이라 하더라도 그것이 근로의 대상으로 지급된 것으로 볼 수 없다면 임금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 여기서 어떤 금품이 근로의 대상으로 지급된 것이냐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금품지급의무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6. 10. 12. 선고 2006추38 판결
[1] 지방자치법 제15조에 의하면 지방자치단체는 그 내용이 주민의 권리의 제한 또는 의무의 부과에 관한 사항이거나 벌칙에 관한 사항이 아닌 한 법률의 위임이 없더라도 그의 사무에 관하여 조례를 제정할 수 있는바, 지방자치단체의 세자녀 이상 세대 양육비 등 지원에 관한 조례안은 저출산 문제의 국가적·사회적 심각성을 십분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8. 4. 30. 선고 96헌바62 전원재판부
지방세법 제9조는 지방자치단체의 합리성 없는 과세면제의 남용을 억제하고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균형을 맞추게 함으로써 조세평등주의를 실천함과 아울러 건전한 지방세제를 확립하고 안정된 지방재정 운영에 기여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제정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 헌법에 위반되지 아니한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6. 10. 27. 선고 2014추514 판결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기본소득의 법적 고찰
사회보장법학
2020 .06
기본소득제도의 논의배경과 한계에 관한 연구
미국헌법연구
2017 .12
기본소득 구성 요건의 위계화와 제도에 대한 판별 : 기본소득에 관한 개념적 고찰이 실현 전략에 주는 함의
비판사회정책
2021 .11
낮은 수준의 범주형 기본소득의 의미: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수급 청년의 경험
사회보장연구
2021 .11
기본소득 제도의 도입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정책적 시사점
산업경제연구
2020 .10
한국의 기본소득 태도: 누가, 어떠한 기본소득을 지지하는가?
사회보장연구
2021 .11
기본소득 논쟁 제대로 하기
한국사회정책
2018 .09
기본소득의 헌법적 정당성에 관한 시론적 고찰
공법학연구
2017 .08
더 나은 기본소득 논쟁을 할 권리 : 사회정책 분야의 논쟁 분석
경제와사회
2020 .12
기본소득의 소득 분배를 통한 소비효과 예측
한국행정연구
2020 .01
기본소득의 헌법적 근거에 관한 모색적 연구
헌법논총
2017 .11
기본소득의 헌법상 근거와 정당성에 대한 소고
법학연구
2019 .06
기본소득의 이상적 모형과 이행경로
한국사회복지학
2017 .08
新청년기본소득 제도의 도입에 관한 연구
국정관리연구
2021 .12
기본소득제의 예상 쟁점 및 정책적 실현가능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2017 .06
기본소득의 복지법제적 검토
법제
2021 .09
재난기본소득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경기도 기초지방자치단체 재난기본소득 사례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2022 .08
경기도 기본소득 5개년 (2022년~2026년) 종합계획 수립 연구
정책연구
2021 .10
사회변화와 새로운 기본권으로서 기본소득의 헌법적 보장 가능성
헌법학연구
2019 .01
기본소득과 유사제도 비교 연구
정책연구
2021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