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계보학적 전환?
3. ‘도덕적 관점’의 정당화 문제
4. 이차적 언어화 - 의사소통행위이론의 수정
5. 포스트형이상학적 사고의 계보학
6. 동시대적 존재로서의 종교의 의미
7.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차라리 AI가 정치하는 게 낫지 않아?”라는 질문에 대한 철학적 답변 : 하버마스 머신 비판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2025 .02
생활세계와 체계 - 하버마스의 이단계 사회이론과 그에 대한 비판에 대한 재고찰 -
철학
2020 .08
해방 이후 우익정치의 계보학과 주체 형성
문화과학
2017 .09
계보학적 비판으로서의 『계몽의 변증법』 읽기
철학
2019 .11
글로벌 인재와 영어 능력 : 신자유주의 주체 형성의 계보학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 .04
[토론문] 글로벌 인재와 영어 능력: 신자유주의 주체 형성의 계보학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 .04
글쓰기 혹은 데이터 프로세싱 기술의 계보학 - 프리드리히 키틀러의 매체이론
문학들
2019 .08
다원주의와 의사소통 : 하버마스에서 듀이로
철학연구
2015 .09
‘도시인문학’ 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 : 도시인문학 담론의 계보학
황해문화
2015 .03
내재적 초월의 사회철학: 하버마스와 호네트의 경우
도시인문학연구
2019 .01
‘국민국가’ 혹은 ‘국민’의 무의식에 대한 계보학적 탐사 - 정선태, 『지배의 논리 경계의 사상』, 소명출판, 2017.
어문론총
2018 .03
서양의 현대성과 탈종교화: 하버마스와 가톨릭교회를 중심으로
신학과 철학
2019 .01
토의민주주의론은 포스트 정치적인 것인가?: 하버마스와 랑시에르를 중심으로
시대와 철학
2021 .01
근대‘한국학’과 동아시아 지식장의 형성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의 20세기 전환기 동아시아 지식장과 근대한국학 탄생의 계보(2020)에 대한 서평
비교한국학
2021 .01
페리코레시스적 합리성: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합리성에 대한 삼위일체론적 비판
신학연구
2019 .12
(Re)Thinking History -Benjamin’s Historical Materialism and Nietzsche’s Genealogy-
철학∙사상∙문화
2021 .01
비판에서 체계로, 다시 체계에서 비판으로 - 장춘익 사회철학의 문제의식과 그 전개과정
사회와 철학
2022 .04
탈초월화의 길
철학사상
2021 .05
하버마스와 아도르노의 자유론
사회와 철학
2021 .10
한국 사람의 계보학적 탐색 : 함재봉 저, 『한국 사람 만들기 1』, 아산서원, 2017
인간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