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우익정치의 형성과 분화
2. 우익의 주체 형식 I: 호모 사케르
3. 우익의 주체 형식 II: 호모 포시덴스
4. 시장과 광장의 주체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글로벌 인재와 영어 능력 : 신자유주의 주체 형성의 계보학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 .04
[토론문] 글로벌 인재와 영어 능력: 신자유주의 주체 형성의 계보학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 .04
한국 우익진영의 대응사회운동 전개와 정치과정
문화과학
2017 .09
해방에 대하여
자음과모음
2022 .06
우리는 사회는 얼마나 해방되었는가?
내일을 여는 역사
2015 .06
해방 70년, 우리 시대를 다시 돌아봅니다
내일을 여는 역사
2015 .03
실천이성의 계보학: 하버마스 후기 철학의 방법론적 변화에 관하여
철학연구
2020 .12
민족해방과 계급해방
현대사상
2021 .07
개신교 우익청년대중운동의 형성 : 극우정치에서 개신교의 효용과 문화 구조
문화과학
2017 .09
감정을 해방하라
제3시대
2018 .06
글쓰기 혹은 데이터 프로세싱 기술의 계보학 - 프리드리히 키틀러의 매체이론
문학들
2019 .08
해방시에 나타난 시적 상황에 관한 존재성 연구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8 .11
해방기 좌·우익 문학 논쟁 연구 -김동석과 김동리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2018 .09
‘도시인문학’ 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 : 도시인문학 담론의 계보학
황해문화
2015 .03
[서평] 《해방일기》를 읽고 : 《해방일기》의 ‘해방·해방기’ 인식
현대사광장
2015 .06
돌봄의 정치: 무엇을 돌볼 것인가?
문화과학
2024 .12
일본 우익의 성립과 전개에 대한 시론 -한국의 일본 우익연구를 중심으로-
日本思想
2017 .01
전향우익 분석 : ‘북(北)’에 근거한 프레임과 권력 욕망
문화과학
2017 .09
근대‘한국학’과 동아시아 지식장의 형성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의 20세기 전환기 동아시아 지식장과 근대한국학 탄생의 계보(2020)에 대한 서평
비교한국학
2021 .01
“EDUCATION FOR LIBERATION” BASED ON THE PARADIGM “MISSION FOR LIBERATION”
장신논단
2016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