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장소의 사건
2. 장소의 외재화
3. 장소의 주름
4. 관계하기의 장소
5. 장소애와 글쓰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장소
시조시학
2019 .09
말할 수 없는 장소들에 대하여
문학들
2021 .05
장소성과 지역문학
비평문학
2019 .06
탈장소화 시대의 선교적 장소
선교신학
2021 .11
대전의 장소성과 문학
문학들
2015 .11
장소의 발견
월간에세이
2024 .09
지방자치단체의 장소 기반 지역축제에 나타난 장소성 분석 - 연천전곡리구석기 축제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22 .02
장소와 경험의 상관성 탐구: 중국 북경 소수민족 공동체를 중심으로
인문과 예술
2020 .01
장소 경험을 통한 세계의 인식
인문과학연구
2018 .12
노년의 장소와 장소상실 : 일본 농산촌 지역에서의 Aging in Place 실천과 장소감각의 경합
비교문화연구
2016 .07
대전충남 여성 시문학과 로컬리티 : 김명원·송계헌·양애경의 시를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7 .08
아리스토텔레스 자연철학에서 `경계`(peras) 개념과 제논의 장소의 역설
철학논총
2015 .01
작중인물의 장소 경험과 장소에 대한 정체성이해에 초점을 둔 소설교육
독서연구
2021 .01
서울의 일상적 장소기억을 기록한 독립출판물의 특징
인문콘텐츠
2019 .06
채만식 수필에 나타난 공간 서사와 의미 양상
우리문학연구
2018 .07
유치환 시의 장소성 연구 - ‘만주’, ‘경주 · 부산’, ‘서울’을 중심으로 -
국어문학
2024 .07
신경림의 시집 『農舞』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적 세계
한국시학연구
2020 .02
장소성의 병존과 가변성 연구-대구시 ‘북성로’를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2021 .03
[지도 위에 핀 꽃] 하나의 장소, 만 개의 기억
월간에세이
2021 .10
박재삼 초기시에 나타난 장소성 고찰
국어문학
2018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