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기
2. 고등학교 『일본어Ⅰ』교과서의 문화내용 분석
3. 문학의 가치와 문학교육의 필요성
4. 문학을 활용한 문화칼럼
5. 나가기
참고문헌
要旨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陰崖 李耔 「自敍」 硏究 -「自敍」의 장르적 특성과 文學觀의 경향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020 .01
국어국문학과 조선어문학의 분단: 설립 초기 국립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와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의 비교연구
동악어문학
2021 .02
中?湖南益??俗音??究
문화와 예술연구
2020 .01
일본 시코쿠 헨로의 유래와 시대별 전개 양상
일본문화연구
2022 .04
한국어적 발상을 고려한 일본어 자·타동사 교수-학습 방안
일본문화연구
2021 .07
일본어 “願う”구문의 통사적 특징 -대응하는 한국어 “바라다”구문을 염두에 두고-
일본문화연구
2021 .07
古朝鮮의 遼西地域 진출과 土着社會의 動向
고조선단군학
2017 .06
日本の歌集の詞書と郷歌の背景説話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6 .11
후생성 설립과 우생정책에 관한 공중위생적 접근
일본문화연구
2024 .10
韓国の大学におけるビジネス日本語教育を考える
국제언어문학
2017 .12
張愛玲與李善姬作品體現的女性意識比較硏究
중국어문학논집
2018 .02
일본의 일어교육에서 문화에 관한 인식 고찰 - 학습의 관점에서 -
일본문화연구
2020 .10
韩国菩提庵、向日庵、洛山寺、普门寺观音道场与中国普陀山观音道场文化景观比较研究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11
조선의 神劍에 대한 고찰 - 刀劍文學作品과 現存 遺物을 중심으로 -
동방한문학
2021 .01
문화이미지프레임(CIF)’ 도입을 통한 일본어교육의 효율성 제고 가능성에 대한 일고찰
일어일문학연구
2015 .08
汉韩2020年流行词语对比研究
중국언어연구
2022 .06
韓国における非日本語専攻者の日本語学習意識 : 全羅道地域の大学生を対象に
일어일문학
2015 .11
『日本語文學』의 硏究動向 分析硏究
일본어문학
2018 .01
한국 젊은층의 일본관 변화와 문화적 요인 분석 ― ‘상호 혐오의 악순환’을 넘어―
일본문화학보
2020 .11
帝国日本が作製した釜山の都市図に関する基礎的研究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0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