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서론
2. 『무정』에 나타난 상대높임법 개괄
3. 화·청자 관계에 따른 상대높임법 등급별 특징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결혼 이민자 대상 높임법 교육 양상- 교재 제시 방식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2018 .01
[이광수『무정』발표 100주년] 『무정』의 오감 : 이광수의『무정』, 100년의 소회
지식의 지평
2017 .11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어 높임법에 대한 인식과 사용 양상 연구
국제언어문학
2020 .04
여성주의적 시각과 『무정』 연구사
춘원연구학보
2017 .12
20세기 전기 유성기 연극에 나타난 상대높임법 사용 양상 -언어 외적 요인에 따른 상대높임법 사용을 중심으로-
한말연구
2023 .01
교과서를 통해 본 <무정> 교육 연구-2011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2016 .01
韩汉语敬语表达法的交互主观性
한중인문학연구
2024 .03
‘-실게요’ 사용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 : 오류 표현에 대한 언어생태학적 해석을 위하여
코기토
2017 .02
문학교육에서 『무정』의 정전화 연구 : 2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교재화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17 .09
이광수의 『무정』에 나타난 기독교적 지도자상 고찰
인간연구
2024 .08
한국어 교육 교재에서의 높임법 교수 재고
우리어문연구
2020 .01
한국어 교재의 상대높임법 분석
반교어문연구
2022 .04
이광수 문학에 나타난 근대의식의 양상 : 주요 단편과 『무정』·『사랑』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17 .03
이광수의 『무정』에 대한 북한문학의 문학사적 인식의 변화 양상 고찰
현대소설연구
2017 .09
한국어교육을 위한 상대높임법 등급 체계에 대한 제안
동악어문학
2017 .08
최국철의 『간도전설』에 나타난 상대높임법 사용 양상
영주어문
2023 .02
『무정』에서의 숭고와 욕망의 문제
현대소설연구
2018 .12
높임법을 통해 본 한국 및 베트남의 문화 비교 연구 -가정 내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공존의 인간학
2019 .02
한국어 모어 화자의 상대높임법 인식 양상 : 20,30대 화자를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6 .06
민태원의『레 미제라블』번역 연구 : 일본어 기점텍스트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일본어학연구
2018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