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두 가지 질문
Ⅱ. 종속노동’의 재검토: 휴고 진쯔하이머의 종속노동 개념
Ⅲ. 근로자 개념에 대한 판례의 법리와 문제점
Ⅳ. 새로운 접근: 2018년 미국 캘리포니아 “ABC 테스트” 법리의 도입
Ⅴ. 논의의 정리: 해석론 및 입법론적 과제
Ⅵ.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04. 2. 27. 선고 2001두8568 판결
지역별 노동조합이 그 구성원으로 `구직중인 여성 노동자`를 포함하여 노동조합설립신고를 한 경우, `구직중인 여성 노동자`는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상의 근로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노동조합설립신고를 반려하는 것은 위법하다고 판단한 원심판결을 수긍한 사례.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9. 6. 13. 선고 2019두33712 판결
[1]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하 `노동조합법’이라 한다)은 근로자가 노동조합의 주체라고 명시하고(노동조합법 제2조 제4호 본문), 근로자에 관하여 직업의 종류를 묻지 않고 임금·급료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수입으로 생활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하고 있다(노동조합법 제2조 제1호). 노동조합법상 근로자는 사용자와 사용종속관계에 있으면서 노무에 종사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8. 10. 12. 선고 2015두38092 판결
[1]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하 `노동조합법’이라 한다)상 근로자는 타인과의 사용종속관계하에서 노무에 종사하고 대가로 임금 기타 수입을 받아 생활하는 자를 말하고, 타인과 사용종속관계가 있는 한 당해 노무공급계약의 형태가 고용, 도급, 위임, 무명계약 등 어느 형태이든 상관없다. 구체적으로 노동조합법상 근로자에 해당하는지는, 노무제공자의 소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8. 6. 15. 선고 2014두12598, 2014두12604(병합) 판결
[1]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하 `노동조합법’이라 한다)상 근로자는 타인과의 사용종속관계하에서 노무에 종사하고 대가로 임금 기타 수입을 받아 생활하는 자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노동조합법상 근로자에 해당하는지는, 노무제공자의 소득이 특정 사업자에게 주로 의존하고 있는지, 노무를 제공 받는 특정 사업자가 보수를 비롯하여 노무제공자와 체결하는 계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8. 4. 26. 선고 2016두49372 판결
[1]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서 말하는 근로자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를 의미한다(제5조 제2호 본문).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하는지는 계약의 형식이 고용계약, 도급계약 또는 위임계약인지 여부보다 근로제공 관계의 실질이 근로제공자가 사업 또는 사업장에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한다. 여기에
자세히 보기광주고등법원 2019. 6. 19. 선고 2018나23307 판결
아이돌봄 지원법에 따라 갑 지방자치단체의 각 구청장이 관할 구역에 지정한 서비스제공기관(이하 `서비스기관’이라 한다)을 통하여 아이돌봄서비스를 제공하였던 아이돌보미인 을 등이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문제 된 사안이다. 소속 아이돌보미를 선택하는 것에 관하여 서비스기관에 실질적인 재량이 있었다고 보기 어려운 점, 아이돌보미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16. 8. 12. 선고 2015누61216 판결
자세히 보기서울행정법원 2019. 11. 15. 선고 2018구합50888, 2018구합50932(병합), 2018구합50949(병합), 2018구합55869(병합), 2018구합57186(병합), 2018구합58660(병합), 2018구합60144(병합), 2018구합60182(병합), 2018구합70134 (병합), 2018구합70172(병합), 2018구합71496(병합), 2018구합73508(병합), 2018구합75528(병합), 2018구합75559(병합), 2018구합79193(병합), 2018구합80094(병합), 2018구합81783(병합), 2018구합84263(병합), 2018구합85624(병합), 2019구합51048(병합), 2019구합53174(병합)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9. 2. 14. 선고 2016두41361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6. 12. 7. 선고 2004다29736 판결
[1]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계약의 형식이 고용계약인지 도급계약인지보다 그 실질에 있어 근로자가 사업 또는 사업장에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하고, 여기에서 종속적인 관계가 있는지 여부는 업무 내용을 사용자가 정하고 취업규칙 또는 복무(인사)규정 등의 적용을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4. 12. 9. 선고 94다22859 판결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그 계약의형식이 민법상의 고용계약인지 또는 도급계약인지에 관계없이 그 실질에 있어 근로자가 사업 또는 사업장에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할 것이고, 위에서 말하는 종속적인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업무의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3. 5. 25. 선고 90누1731 판결
가. 노동조합법상 근로자란 타인과의 사용종속관계하에서 노무에 종사하고 대가로 임금 등을 받아 생활하는 자를 말하고, 타인과 사용종속관계가 있는 한 당해 노무공급계약의 형태가 고용, 도급, 위임, 무명계약 등 어느 형태이든 상관없으며 사용종속관계는 사용자와 노무제공자 사이에 지휘 감독관계의 여부, 보수의 노무대가성 여부, 노무의 성질과 내용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현대 사회에서 헌법상 근로자 개념의 재구성
헌법학연구
2024 .03
헌법 제32조의 근로의 권리를 통한 디지털 플랫폼 노동자 보호에 관한 연구
법학논집
2021 .01
공유경제(sharing economy)의 노동법적 쟁점 : 미국에서의 근로자성 판단 논의를 중심으로
노동법연구
2017 .03
플랫폼노동 종사자의 근로자성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과 미국의 비교법적 검토를 중심으로-
사회법연구
2020 .01
플랫폼 종사자 보호를 위한 노동법적 지위 규정 방안- 노무제공관계의 다변화에 따른 종속성 판단을 중심으로 -
고려법학
2021 .12
플랫폼 노동의 정의와 노동권·단결권·사회권 관련 법·제도 비교연구: 한국과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2023 .12
영국노동법의 인적 적용범위와 플랫폼 노동
노동법학
2020 .03
디지털플랫폼에 의한 노무제공자의 근로자성 판단
법학연구
2018 .11
미국 노동법상 디지털 플랫폼 종사자의 근로자성 판단 - 2018년 캘리포니아 대법원 Dynamex 판결을 중심으로 -
노동법학
2019 .12
미국의 플랫폼종사자 보호와 규제방식
노동법연구
2024 .09
미국에서의 플랫폼노동의 현황과 법적 쟁점 - 근로자성과 관련된 AB-5법을 중심으로 -
강원법학
2021 .02
플랫폼 노동과 근로자성에 대한 최고법원 판례의 비교법적 검토
노동법학
2022 .03
대안적 노동 원리 : 노동으로부터의 해방과 노동을 통한 해방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5 .02
프랑스의 플랫폼 노동에 관한 법제
강원법학
2021 .02
코로나19와 노동법의 과제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정의롭고 안전한 노동을 위한 법제도적 방향
법과사회
2021 .01
플랫폼 노동 입법 논의의 성과와 과제
산업관계연구
2022 .12
4차 산업혁명 시대 프랑스 노동법의 대응 - 연결차단권의 보장과 플랫폼노동의 사회적 보호를 중심으로 -
노동법논총
2020 .08
디지털 시대, 노동법의 경계석 고쳐 세우기
저스티스
2023 .02
청소년·청년 디지털 플랫폼노동 실태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20 .12
플랫폼노동 종사자의 노동법적 쟁점과 보호방안
아주법학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