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헛간을 태우다」가 그리는 복수(複數)의 세계
Ⅲ. 「헛간을 태우다」의 ‘그녀’와 <버닝>의 ‘해미’
Ⅳ. 세계관의 차이와 서사방법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영화 <버닝>과 단편소설 『헛간을 태우다』 비교 분석: 내셔널/트랜스내셔널 상호텍스트성의 문화적 함의를 중심으로
인문과 예술
2024 .06
소설「헛간을 태우다」와 영화「버닝」의 문화 텍스트적 변용과 확장 : ‘WHAT’에서 ‘WHY’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18 .11
이창동의 <버닝>에 나타난 문예 미학적 논리 연구 -무라카미 하루키, 윌리엄 포크너 소설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019 .01
<버닝>의 수수께끼와 갈래성 고찰
동남어문논집
2023 .05
복수(復讐)의 진부함: <버닝>과 원한의 논리
신학과 학문
2021 .01
The Image of Class Immobility in Chang-dong Lee’s Film Burning and William Faulkner’s “Barn Burning”
동서비교문학저널
2021 .09
‘벌거벗은’ 생명을 태우다: 이창동 〈버닝〉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현상학과 현대철학
2020 .09
The Others in Burning and Decision to Leave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24 .05
인식의 모호함이 향하는 문학적 귀결__영화 <버닝>에 대한 단상들__
인도철학
2021 .12
영화 <버닝>의 스토리텔링 연구
영주어문
2019 .01
로컬의 이야기는 세계적 보편성을 가질 수 있나? : 이창동〈버닝〉의 각색 전략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24 .06
권태와 무기력에 관하여- 영화 '버닝'과 레비나스의 존재론 -
철학논집
2018 .01
타오르지 않는 분노 <버닝 (이창동, 2018)>
제3시대
2018 .12
번역(Translation)과 변형(Transformation) 그 사이에서 - 포크너, 하루키, 그리고 영화 「버닝」의 매체 번역을 사유하다
세계문학비교연구
2019 .01
이창동 영화 <시>에 나타난 세계관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2024 .06
2020년대 여성 소설가 소설에 나타난 자기 서사의 윤리 – 조남주의 「오기」, 박서련의 「그 소설」, 이미상의 「이중 작가 초롱」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2024 .04
근대의 소설가적 정체성과 소설가 표상 : 근대 소설가소설을 중심으로
어문논총
2017 .08
문학의 은유에서 영화의 은유로, 영화 《버닝》 연구 - 에이젠슈테인의 개념들을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2018 .01
소설론은 움직인다
자음과모음
2023 .06
소설을 기다리다
월간에세이
2018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