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Introduction
Ⅱ. Poor Whites in 19th ~ Early 20th Century Southern U.S. and Dirt Spoons in 21st Contemporary Korea
Ⅲ. The House, the Reflection of the Rich and the Poor
Ⅳ.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and What Burning Reflects
Ⅴ. Conclusion
Works Cited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소설「헛간을 태우다」와 영화「버닝」의 문화 텍스트적 변용과 확장 : ‘WHAT’에서 ‘WHY’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18 .11
The Others in Burning and Decision to Leave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24 .05
영화 <버닝>과 단편소설 『헛간을 태우다』 비교 분석: 내셔널/트랜스내셔널 상호텍스트성의 문화적 함의를 중심으로
인문과 예술
2024 .06
무라카미 하루키의 「헛간을 태우다」와 이창동의 <버닝>에 나타난 세계관 - 서사방법과 시대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2020 .08
이창동의 <버닝>에 나타난 문예 미학적 논리 연구 -무라카미 하루키, 윌리엄 포크너 소설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019 .01
인식의 모호함이 향하는 문학적 귀결__영화 <버닝>에 대한 단상들__
인도철학
2021 .12
랭보의 침묵과 <지옥에서의 한 철>의 분서(焚書)
인문언어
2021 .12
Identifying the Genre of Burning as a National Allegorical Third-World Text of Neocolonial Cruel Optimism
동서비교문학저널
2023 .06
문학의 은유에서 영화의 은유로, 영화 《버닝》 연구 - 에이젠슈테인의 개념들을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2018 .01
월리엄 포크너의 「헛간 방화」: 흑인 아들로의 패싱
현대영미소설
2017 .01
김지하의 시 「타는 목마름으로」에 나타난 “쓴다”의 의미 : 시 장르의 문자적 상상력의 관점에서
비평문학
2018 .06
복수(復讐)의 진부함: <버닝>과 원한의 논리
신학과 학문
2021 .01
『강철군화』와『버닝 데이라이트』에 나타난 자본주의 비판과 휴머니즘
현대영어영문학
2024 .02
『지장경』에 나타난 지옥관의 일고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2023 .06
북한 전쟁서사에 나타난 애정담의 번역 양상 연구 -북한 대외홍보지 『새조선』의 중국어 번역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24 .08
Participation of Non-Whites in Regional Variations of American English : Towards a Same Goal with Different Motivations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4
여성수난서사의 전복 : 사랑·전쟁·혁명의 다시 쓰기 —정연희의 신문연재소설 『불타는 신전』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2021 .08
조선후기 歌辭에 나타난 지옥의 양상과 시대적 의미
한국시가문화연구
2016 .01
百濟 城郭 內 貯藏施設 硏究
문화사학
2016 .12
FIRE City: Paju and Burning
Situations: Cultural Studies in the Asian Context
2021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