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들어가며: 河구언과 禍구언
2. 낙동강하굿둑의 역사와 ‘을숙도 섬사람들의 생존권 투쟁’
3. 아래, ‘보(洑)’로 분리된 세상: 국가적 생산양식에 맞선 삶의 연결과 투쟁
4. 하굿둑의 위상학: 하굿둑의 존재론적 · 인식론적 모순
5. 나오며: 자연과 인간의 공진화를 향해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낙동강 외 1편
시조시학
2017 .06
낙동강 연안의 구곡문화와 그 특징 –낙동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영남학
2022 .12
포석 조명희의 <낙동강> 원전비평적 연구
우리문학연구
2021 .04
간송 조임도의 문학에 나타난 낙동강 연안과 그 의미
한국문학논총
2020 .01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과 영화 〈낙동강〉
한국학연구
2022 .12
낙동강의 유교문화적 가치와 의미
안동학
2023 .12
<그녀>에 나타난 인간과 기계의 공진화
영미문학교육
2015 .01
인류세, 인간과 자연의 공진화를 요청하다
철학과 현실
2023 .03
탯줄 끊기 ― 낙동강·542 외 1편
시조시학
2020 .12
누에고치 - 낙동강 465 외 1편
시조시학
2015 .06
1930년대 前半 일제의 재난 관리금 운용방식과 조선인 이주 시책 -1934년 낙동강 유역 대홍수 대응을 중심으로-
역사교육
2023 .06
통나무의자 : 낙동강 486
시조시학
2016 .08
포스트휴먼 사회의 인지적 주체와 정동: 테드 창의 정보 내러티브를 통해 본 인간-비인간의 공진화
미국소설
2024 .07
한국문학이 그린 똥의 얼굴(2)- 『분례기』 재론-
사이間SAI
2022 .11
유럽의 생태주의 흐름과 괴테의 자연관
인문과학
2021 .08
‘생태적’ 인간을 기르기 위한 마음교육의 방향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5 .06
생태영성학(Study of Eco-Spirituality)의 구상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1 .12
정맥의 반란 외 4편
시조시학
2020 .06
병부과장식석검과 그 제작 집단에 대한 시론
한국상고사학보
2016 .01
인공자연의 탄생과 문학 에콜로지—공진화와 상호강화경험의 아르투라
현대문학이론연구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