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탯줄 끊기 ― 낙동강·542
밀물 썰물 ― 낙동강·544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낙동강 외 1편
시조시학
2017 .06
낙동강의 유교문화적 가치와 의미
안동학
2023 .12
누에고치 - 낙동강 465 외 1편
시조시학
2015 .06
통나무의자 : 낙동강 486
시조시학
2016 .08
구포역 소묘 - 낙동강 497 외 1편
시조시학
2017 .09
낙동강은 도산에 이르러 비로소 강이 되었다 : 도산9곡, 예던길을 따라서
안동학
2017 .12
낙동강 연안의 구곡문화와 그 특징 –낙동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영남학
2022 .12
해방 후 낙동강 수해와 치산대책
로컬리티 인문학
2024 .10
역사·문화로 본 한강·낙동강·오십천 발원지 고찰
江原史學
2018 .01
[도보여행] 낙단교에서 동락공원까지_낙동강 물길의 좌안을 따라 걷다
여행스케치
2024 .07
낙동강방어선 방어작전을 통해서 본 워커 장군의 전투지휘 및 리더십 재조명
군사연구
2021 .01
조선 전기 낙동강 유역 水站에서 보이는 倭館的 성격 : 낙동강 하류 구간 수참을 중심으로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7 .04
간송 조임도의 문학에 나타난 낙동강 연안과 그 의미
한국문학논총
2020 .01
[김준태의 시 70년 오디세이(14회)] 포석 조명희의 「낙동강」 「짓밟힌 고려」- 일제강점기 ‘디아스포라문학’을 대표 빼앗긴 우리말 속에 민족해방을 담아
푸른사상
2021 .09
3~4세기 영남지방 노형기대의 전개 -조기 신라·가야토기의 지역성과 그 의미-
숭실사학
2019 .01
분리와 연결의 30년 : 낙동강하굿둑 수문 개방에 즈음하여
한국민족문화
2020 .08
경남 지역의 왜구와 낙동강
역사와경계
2022 .04
근현대 낙동강 하류의 개발과 담수 어업의 몰락
로컬리티 인문학
2024 .10
일제강점기 낙동교(洛東橋) 건설과 낙동강 하류부 교통로의 변화
로컬리티 인문학
2024 .10
포석 조명희의 <낙동강> 원전비평적 연구
우리문학연구
2021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