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시몽동의 기술철학에서 나타난 인간-기계 짝짓기의 가능성에 관해
코기토
2022 .02
<오토마타>에 나타난 기계의 자의식과 포스트휴먼의 도래
인문과학연구
2024 .07
한국문학이 그린 똥의 얼굴(2)- 『분례기』 재론-
사이間SAI
2022 .11
인간과 기계번역의 공존을 위한 담론: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통번역교육연구
2022 .11
개체초월적 포스트휴먼 : 그렉 베어의 『블러드 뮤직』
영어영문학
2017 .08
Making the Posthuman: Unmaking the Humanity
영어권문화연구
2019 .01
포스트휴먼 테크놀로지
인문학연구
2021 .06
포스트휴먼을 위한 교육 가능성 탐구
신학과세계
2016 .06
하오징팡(郝景芳) 소설의 포스트휴먼(Post-human)관 고찰
외국학연구
2022 .09
인종과 포스트휴먼: 비판적 분석
미국소설
2018 .01
신유물론자의 기계 : 레비 브라이언트의 기계지향존재론과 1920년대 로봇
인문학연구
2023 .06
초월적 포스트휴먼 : 미래의 몸, 몸의 미래
동서비교문학저널
2018 .03
공진화를 위한 기술화된 몸이론의 가능성
아시아문화연구
2020 .04
포스트휴먼은 인간의 존엄성을 위협하는가?
철학논총
2018 .10
포스트휴먼 사회의 인지적 주체와 정동: 테드 창의 정보 내러티브를 통해 본 인간-비인간의 공진화
미국소설
2024 .07
Identification of Machine-Translated Texts Using Machine Learning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 .04
Can Machines Play Language Games with Humans?
인공지능인문학연구
2019 .01
근현대 과학기술문명에 대한 인간존재론적 독해 - 포스트휴먼 성찰: 야스퍼스와 매슬로를 중심으로 -
철학사상
2022 .02
시몽동의 기술철학, 인간과학의 정초를 위한 시도
철학연구
2019 .06
포스트휴먼 인문학의 이론적 배경 및 성격과 연구의 방향
언어과학연구
2023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