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신윤범 (부경대학교)
저널정보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0년 제40차 춘계연합국제학술대회
발행연도
2020.7
수록면
239 - 243 (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a system that allows students to choose their own subjects and allows them to complete their courses, thus allowing them to graduate with cumulative credits. To settle the Korean-style high school credit system, our country is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In that way, it will be embodied in research schools, designation and operation of leading schools, operation of roadmaps for the promo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promotion of various support projects, and policy forums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Ministry of Education said in a press release that it will establish a "Korean-style high school credit system" based on advanced cases in major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Finland and Singapore. If discussions and deliberation in various and wide areas are conducted at the central-Education-Unit School level through forums, research and seminars, it will be able to achieve flexible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centered on student growth.

목차

1. 고교학점제 추진배경
2. 고교학점제 개념
3. 고교학점제 정책 동향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910-001090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