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한국의 중국고전문학 수용의 보편성
3. 한국의 중국고전문학 수용의 개별성
4.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고전문학 수용의 공통성과 차별성
중국지식네트워크
2023 .05
우리에게 고전은 무엇인가
자음과모음
2020 .09
21세기 교실에서 고전문학을 경험한다는 것 -최홍원, 『고전문학 경험교육론 ? 고전문학이 묻고, 경험이 답하다』, 역락, 2015
어문론총
2017 .12
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한국고전문학 교육의 방향 - 한국, 중국, 미국의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
2019 .12
중국 1950∼60년대 외국문학 번역과 수용 양상
인문사회과학연구
2016 .01
빅데이터와 고전문학 연구방법론
어문론집
2019 .06
우리시대의 고전
동서인문
2020 .04
현대재매개화콘텐츠의 고전문학사적위치 규정을 통한 고전문학의 통시적 전변론
인문논총
2016 .01
북미 대학에서 한국 고전문학 강의와 교재 고찰
한국한문학연구
2015 .06
중국고전문학 속의 치정의 의의와 가치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11
중국의 동양고전 관련 디지털인문학 현황 -정책, 성과, 교육을 중심으로-
漢文敎育論集
2022 .06
데이터 기반의 고전 읽기 교육 ? ??논어??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인문학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2021 .01
1920년대 잡지의 문학 담론과 ‘고전(古典)’의 좌표: 『개벽(開闢)』의 DB 분석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2023 .03
合評會 : 일본고전문학분과
일본문화학보
2015 .02
지나치게 문학적인
번역하다
2022 .04
다시, 문학지
자음과모음
2019 .03
밤, 항구 그리고 울음 - 박현덕, 『밤 군산항』(문학들, 2020)
시조시학
2020 .06
다음 책도 문학이기를
번역하다
2022 .03
문학의 밤 외 1편
시조시학
2022 .12
문학의 일, 문학은 일
자음과모음
2020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