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머리말
Ⅰ. 조선 개항과 각지 화상단체의 설립
Ⅱ. 중국 <상회법> 제정과 화상단체의 재편
Ⅲ. 재조선 중화상회 재편의 특징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考古学からみた海を介した交流三題: 新安海底沈没船⋅竹幕洞祭祀遺跡⋅日本 秋田城跡
유라시아문화
2021 .08
甲午改革期監理署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일관계사연구
2017 .04
포은의 명나라 사행 시기 역사제재 한시에 관한 일고찰
포은학연구
2020 .01
자원(字源) 분석에 기초한 ‘使’의 문법화 연구
중국학
2021 .01
중국어 ‘使’자문과 그에 대응되는 한국어 형식 : 말뭉치 연구를 중심으로
중어중문학
2016 .09
김경선의 『연원직지(燕轅直指)』에 기록된 류큐관련 기사와 류큐정보
동아시아고대학
2021 .09
郭嵩燾의 出使 여정과 ≪使西紀程≫의 成書 과정
중국문학
2020 .01
淸 勅使·通官에의 조선 호피 · 표피 사여와 무역
동국사학
2020 .01
원나라 常德의 서역 使行記— 劉郁 ≪西使記≫ 해제 및 역주
중국어문논총
2020 .01
現代漢語致使性“得”字句的結構成分分析
중국어문학논집
2020 .04
당대 시박사(市舶使)를 통한 동・서 해상교역과 문화적 만남에 대한 이해
사림
2022 .01
場所の助詞「に」と「で」の誤用の原因の分析 : アンケ-ト調査の結果をもとに
일어일문학
2018 .08
부여의 국가구조와 四出道
한국고대사연구
2019 .12
한반도제국과 왜국의 사신외교 : 백제 · 신라의 대왜외교의 형태와 그 특징
한일관계사연구
2017 .04
문주왕의 웅진천도와 수촌리 고분군 조영세력
백제연구
2021 .01
조선인이 경험한 일본음식 - 조선의 사행록과 일본의 고증수필을 중심으로 -
일본연구
2020 .01
『석호집』을 통해 본 賈行健의 삶과 경세론
숭실사학
2022 .12
淸 朝貢國 使臣 儀禮의 形成과 變化
동양사학연구
2018 .06
明使 鄭同의 朝鮮使行과 別進獻 문제
[TCHCCOS] 서울과 역사
2016 .02
日韓対照研究の実践と課題 : 名詞文の使い方を例に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18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