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신, 구원, 법에 관한 “유물론적” 시각 - 지젝의 “기독교 비판” 이해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21 .04
안티고네, 아브라함, 그리고 괴물적 그리스도: 슬라보예 지젝이 말하는 문학과 종교 텍스트 속의 정치-윤리적 주체
문학과 종교
2016 .01
Contemplation on Life in Žižek’s Pandemic : The Rise of Biopolitics
동서인문
2020 .10
지젝의 사회정의론에서 바라본 바울 이해
신약논단
2017 .06
마조리 수하키의 과정신학적 그리스도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조직신학논총
2017 .01
칼 바르트의 그리스도론에 대한 비판과 계승
신학과세계
2018 .12
그리스도 안에 창조되고 구원되며 완성된 인간 - 루이스 라다리아의 “그리스도론” 인간학 -
인간연구
2020 .07
Contributions and Issues of Jacques Dupuis’ Trinitarian Christology in the Context of Religious Pluralism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18 .01
엘리자벳 A. 존슨(Elizabeth A. Johnson)의 소피아 그리스도론 연구
신학연구
2023 .12
정치적 올바름입니까, 혐오입니까?-아뇨, 괜찮아요! -슬라보예 지젝의 ‘정치적 올바름’ 비판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18 .01
슬라보예 지젝과 기독교적 신
복음과 실천
2016 .09
로즈마리 래드퍼드 류터의 해방신학적, 여성신학적, 생태신학적 그리스도론
신학논단
2021 .06
‘시스템 폭력’의 두 양상: 한병철과 슬라보예 지젝
인문학연구
2020 .12
The Contribution of Christology to Dealing with Moral Pluralism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18 .01
주체의 ‘빈곤’에서 주체의 ‘충만’으로 : 라깡과 지젝의 관점에서 살펴본 영화 〈퍼스트 리폼드〉에 나타난 주체 문제
현대정신분석
2021 .08
지젝의 민주주의론
현대사상
2023 .09
레오나르도 보프의 ‘해방의 그리스도론’ 연구
신학사상
2023 .03
그리스도와 작은 그리스도: C. S. 루이스의 그리스도론의 구원론적 함의 연구
TORCH TRINITY Journal
2020 .08
The Historical Jesus in the Context of Latin American Liberation Theology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19 .01
[신학정보] 포스트모더니즘과 주체 8 - 지젝 (1) : 까다로운 주체
제3시대
2017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