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시민사회의 이중성과 해방의 조건 - 헤겔 시민사회론과 새로운 규범성 모색
헤겔연구
2021 .01
일상적 시민 공간으로서의 자발적 시민 결사체: 일본의 글로벌 마치즈쿠리 프로젝트와 시민참여 경험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한국문화인류학
2021 .01
시민행동지수를 통해서본 경기도 시민사회단체의 역량과 과제
신학과 사회
2016 .01
일본의 시민사회와 시민사회론
지식의 지평
2016 .05
시민사회, 무엇을 할 것인가? - 분배적 정의와 인정의 화해 -
철학연구
2022 .11
정당정치인가, 시민정치인가?
내일을 여는 역사
2015 .03
종교의 시민사회 참여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인문학연구
2020 .06
한국의 시민과 시민사회의 형성 : 시민성 결핍과 과잉 ‘국민’
지식의 지평
2016 .05
서울 시민사회단체 역량 톺아보기- 둥지형 정치기회구조와 시민행동지수를 중심으로 -
신학과 사회
2016 .01
Portrayal of civic and political identity of ethnic Koreans in the media:The Washington Post 1990-2010
사회과학연구
2015 .01
한국 청소년의 도덕 정체성과 정치적 성향 및 시민참여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윤리연구
2022 .03
동북아시아 지역 시민성 형성 방안
윤리연구
2017 .01
한국 시민사회단체 역량 연구- 광주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
신학과 사회
2016 .01
정치발전과 종교의 공적 역할 : 종교기반 시민사회단체의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16 .03
나자르바예프 집권기, 카자흐스탄의 비관습적 정치참여 환경에 관한 연구
슬라브硏究
2024 .09
시민사회의 적, 극우 개신교의 레드-포비아 현상에 대한 비판적 일고
기독교사회윤리
2021 .01
Political Consumerism as Political Participation in Korea: The Influence of Anti-Business Sentiments, Political Ideology, and Social Media
Korea Observer
2021 .12
경북지역의 정치적 보수화와 시민행동지수
신학과 사회
2016 .01
경기도의 시민사회, ‘87체제’의 대안인가? - CAI로 분석한 경기도의 시민사회 -
신학과 사회
2016 .01
도시 지역공동체의 시민참여와 지역역량 강화 : 여수시 도시재생지원센터의 참여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4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