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冯延巳词的概念整合解读
중국문학
2020 .01
都會의 一角
구보학보
2019 .01
陶菴 李縡의 「代李太白魂誦傳竹枝詞」 일고
고전과 해석
2017 .01
19세기 조선 문인의 『해국도지(海國圖志)』 독서 체험과 문학적 형상화: 신필영(申弼永)의 ?해국죽지사(海國竹枝詞)? 연구
국문학연구
2021 .01
Decomposing -(e)ci and bare inchoatives in Korean
언어연구
2021 .12
강원도 남애리 어촌의 입지분석을 통해 본 바닷가 풍수
동방문화와 사상
2017 .02
영어 의미구조의 개념화: 전경-배경 조직을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2022 .09
Figure Precedence vs. Ground Precedence : With Reference to English and Korean
언어과학연구
2017 .12
1930년대 김효경의 조선 풍수신앙 연구에 관한 비평적 검토
종교문화비평
2024 .03
拟人隐喻的概念整合视角分析
한중인문학연구
2019 .01
鄒祗謨 詞論 硏究
외국학연구
2021 .12
전경-배경의 의미 전이 현상에 관한 연구
언어과학연구
2017 .12
《典经》所见风水文化论
대순사상논총
2020 .01
李良枝『由煕』における「遮断感」の不在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7 .11
가도카와(角川) 유형으로 본 에도후기 미디어믹스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9 .04
跨语言视角的能性范畴硏究
중국어교육과연구
2019 .06
互动视角下的“那”字回应语研究
중국언어연구
2024 .08
중국 역대 문헌 속 麒麟의 원형과 변천 ― 동아시아 麒麟 연구(Ⅰ)
중국어문학논집
2023 .10
두 물체간의 상대적 위치에 관한 영어 원어민 화자들의 인지구조에 대한 연구: 배경의 방향성을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2020 .03
花間詞에서 柳永詞로의 詞體 變化
중국어문학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