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혜정 (가천대학교) 서희전 (동명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어린이미디어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9권 제1호
발행연도
2020.3
수록면
203 - 230 (28page)
DOI
10.21183/kjcm.2020.03.19.1.203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4차 산업과 인공지능의 시대로의 급속한 이행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함께 미래사회를 위한 핵심역량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유능한 학습자로서 협력적이고 개방적인 태도와 아이디어를 창안하고 실제로 구현하는 능력이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테크놀로지의 유창한 사용이 중요한 역량으로 부각됨에 따라 메이커 교육은 미래 교육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메이커스페이스는 메이커 교육의 가치를 실현하는 공간으로 적절하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육을 위한 메이커스페이스 핵심 설계원리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메이커 교육의 개념과 원리 및 PTD 프레임워크 등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 환경 설계에 관한 이론과 어떤 상황과 사물의 인상이 자연스럽게 특정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어포던스(affodance, 행동유도성) 이론을 분석하고 메이커 교육에 부합하는 설계원리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을 위한 메이커스페이스의 설계원리로 유희성(Play), 친밀성(Friendliness), 자율성(Autonomy), 융통성(Flexibility), 연결성(Connectivity), 풍부한 자원과 도구(Fluency), 긍정성(Positiveness), 참여․협력․공유(Engagement․Collaboration․Sharing)의 여덟 가지 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 현장의 메이커스페이스 설계를 위한 기본 지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6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