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의료기기에 대한 진입규제
Ⅲ. 새로운 의료기기 등장과 공익적 요청에 따른 규제변화
Ⅳ. 의료기기 규제변화에 대한 공법적 정당화와 방향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08. 12. 11. 선고 2008두10393 판결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7. 1. 16. 선고 90헌마110·136(병합) 전원재판부〔각하·기각〕
1. 특례법 제4조 제1항은 비록 형벌에 관한 것이기는 하지만 불처벌의 특례를 규정한 것이어서 위 법률조항에 대한 위헌결정의 소급효를 인정할 경우 오히려 형사처벌을 받지 않았던 자들에게 형사상의 불이익이 미치게 되므로 이와 같은 경우까지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2항 단서의 적용범위에 포함시키는 것은 그 규정취지에 반하고, 따라서 위 법률조항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2. 12. 24. 선고 92헌가8 전원재판부〔위헌〕
1. 가. 재판(裁判)의 전제성(前提性)이라 함은, 첫째 구체적(具體的)인 사건이 법원에 계속(係屬)중이어야 하고, 둘째 위헌여부가 문제되는 법률(法律)이 당해 소송사건의 재판과 관련하여 적용(適用)되는 것이어야 하며, 셋째 그 법률(法律)이 헌법에 위반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당해 사건을 담당한 법원(法院)이 다른 내용의 재판(裁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1. 6. 28. 선고 2001헌마132 전원재판부
가. 청구인 허윤영, 같은 문현숙 등 소비자들이 그동안 백화점 등의 셔틀버스를 이용할 수 있었던 것은 백화점 등의 경영자가 셔틀버스를 운행함으로써 누린 반사적인 이익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사건 법률조항으로 인하여 더 이상 셔틀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하더라도, 이는 백화점 등에의 접근에 대한 편이성이 감소되었을 뿐이고, 이로 인하여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의 의료기기 수입통관ㆍ안전관리규정과 통관애로에 따른 한국기업의 시사점
관세학회지
2015 .02
의료 인공지능의 활용을 둘러싼 법적 과제: 규제의 진화 및 책임의 배분을 중심으로
비교사법
2022 .11
신기술기반 의료기기와 규제개선 — 연구개발과의 연계적 관점에서 —
법학논총
2021 .09
우리나라 의료기기 수출기업의 중국 진출시 실무상 유의점
무역보험연구
2017 .01
새로운 과학기술 도입과 의료기기 해당성 판단
과학기술법연구
2015 .01
임상적 관점에서의 의료기기 관리제도 개선방안 연구
과학기술법연구
2019 .01
Fuzzy-AHP를 활용한 미래유망 의료기기 우선순위 도출
경영과 정보연구
2017 .01
의료행위의 적정규제와 안전확보에 관한 연구
법이론실무연구
2021 .08
의료서비스 규제개혁을 위한 핵심 덩어리 규제의 식별 :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시론적 접근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16 .06
한·중 의료기기산업의 동향과 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중국시장진출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동북아 문화연구
2016 .12
과학기술 혁신과 시장진입규제 : 신산업 분야 규제개선 논의의 비판적 수용론을 겸하여
경제규제와 법
2017 .11
융복합 의료제품 규제를 위한 의약품과 의료기기 정의규정의 개정 필요성과 그 방향
경제규제와 법
2022 .11
기술규제, 사례와 정책적 시사점
경제규제와 법
2016 .11
규제와 혁신의 관점에서 본 모바일 의료용 앱 규제 정책 : 미국, EU 및 한국 비교 연구
한국공공관리학보
2017 .09
4차 산업혁명시대 헬스케어의 의료정보 활용화 과제
문화산업연구
2021 .06
보건의료 관련 직역간 업무범위 분쟁의 쟁점: 의료기기 사용에 있어 의사와 피부미용사간 갈등을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
2021 .12
규제 방법의 진화로서 자율규제의 실질화를 위한 연구
행정법연구
2021 .03
좋은 규제의 판단기준에 관한 소고
명지법학
2020 .01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와 의료행위의 구별에 대한 고찰
과학기술법연구
2023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