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김태준의 이율배반적 기획, 조선-문학의 체계화
2. 부재하는 ‘조선 문학’과 작품들의 고고학
3. 조선 문학의 대리 보충으로서의 조선 가요
4. 조선-문학-사, 문서고로서의 문학사
참고문헌
영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伊藤東涯의 『三韓紀畧』편찬과 조선 연구
사학연구
2018 .03
삼각관계 속의 고대 조선, 존망의 순간 -기원전 4세기~기원전 2세기경 동아시아 국제관계-
한국고대사연구
2023 .12
Nurhaci in Korean Sources, 1594-1622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6 .02
조선에 남은 전쟁의 상흔: 임진전쟁과 조선의 인식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
2024 .12
The Chosŏn Gentry Sponsorship of Buddhist Temple Works: Insights from the Records of Late-Chosŏn Donor Ledgers
Journal of Korean Religions
2020 .01
임진왜란 전반기 조선의 남병(南兵) 인식과 활용 방안
한국사연구
2020 .06
朝鮮 太祖代 遼東 공격 시도에 대한 史學史와 그에 대한 탈경계적 분석과 비판
한국사연구
2017 .09
임진왜란 초기 조명 군사 협력의 양상 - 벽제관 전투 전후를 중심으로 -
한국사학보
2019 .05
18세기 후반 청-조선의 범월문제와 경계관리: 金順丁·朴厚贊 사건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16 .01
밤의 침묵과 자유의 타수 - 김수영의 해방공간과 임화의 4.19 -
반교어문연구
2016 .01
조선시대 위조 범죄의 규제와 처벌 — 『대명률』 형률 ‘사위詐僞’편의 조선시대 적용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023 .07
The Re-emergence of Chosŏn Buddhism in the 17th Century: A Question of Institutional Development and Legitimation
Journal of Korean Religions
2019 .01
朝鮮 太祖代 遼東 공격 시도에 대한 재해석 : 여말선초 동아시아의 광역적 통치질서 재구성과 ‘경계인’ 이성계
역사와 담론
2017 .10
조선의 對일 전략에 대한 일고찰 : 일본군의 남해안 철수 직후(1593.07~1594.02)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연구
2021 .11
1920년대 조선 지식인의 중국에 대한 인식 ― 『개벽』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22 .06
조선전기 상업사의 이해 시각
역사교육
2020 .09
역사와 허구의 교직 양상과 원인― 조선 망국에 대한 근대 중국소설의 인식
중국소설논총
2019 .01
15세기 후반 조선의 서북면 방어와 명의 遼東 진출
역사와 담론
2018 .07
琉球王國과 朝鮮王朝 族譜의 비교연구
대동문화연구
2016 .01
조선시대의 순자 이해와 수용
동방학지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