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멈춰라, 생각하라!
2. 폭력의 원천, ‘이웃’
3. 폭력의 산도(産道), ‘언어’
4. ‘관용’이라는 숭고한 대상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들뢰즈 가타리의 폭력론 -국가의 폭력과 전쟁기계의 대항폭력-
현대사상
2018 .04
지젝과 전쟁 · 폭력 · 전체주의
현대사상
2020 .07
지젝의 민주주의론
현대사상
2023 .09
지젝의 슈미트 해석과 비판
문화과학
2015 .12
지젝의 민족주의론 -‘민족-사물’이라는 향유-
현대사상
2021 .07
지젝의 알튀세르 ‘호명 이론’ 다시 읽기
현대사상
2020 .11
슬라보예 지젝과 기독교적 신
복음과 실천
2016 .09
[신학정보] 포스트모더니즘과 주체 8 - 지젝 (1) : 까다로운 주체
제3시대
2017 .10
아서 밀러의 크루서블에 나타난 폭력 메커니즘 다시 읽기
문학과 종교
2016 .01
때론 매개된 폭력이 더 폭력적이다
지식의 지평
2015 .04
주체 개념과 구체적 보편성-헤겔과 지젝의 구체적 보편성 개념을 중심으로-
헤겔연구
2016 .01
지젝의 마오론 -무질서의 왕, 마오쩌둥-
현대사상
2018 .12
『헨리 4세』에 나타난 환타지와 유령 : 라깡과 지젝 이론을 중심으로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 .12
전쟁, 폭력, 반폭력에 관한 몇 가지 성찰
황해문화
2022 .12
지젝의 사회정의론에서 바라본 바울 이해
신약논단
2017 .06
폭력과 한국사회
지식의 지평
2015 .04
안티고네, 아브라함, 그리고 괴물적 그리스도: 슬라보예 지젝이 말하는 문학과 종교 텍스트 속의 정치-윤리적 주체
문학과 종교
2016 .01
반폭력으로서 돌봄 정치
황해문화
2023 .09
[바울신학가이드 15] 지젝과 바울(Ⅱ)
제3시대
2016 .04
바울신학가이드 17 : 지젝과 바울 Ⅳ
제3시대
2016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