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동양고전학회 동양고전연구 동양고전연구 제75호
발행연도
2019.1
수록면
9 - 30 (2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本文主要以與周公的關係為中心, 對西周早期發生的叛亂——被後世稱為“三監之亂”的“形象”變化, 進行探討。 據≪史記・周本紀≫記載, 周武王死後, 周公攝政, 而“管叔、蔡叔群弟”懷疑周公, 與武庚發動叛亂, 最後周公誅殺武庚、管叔, 放逐蔡叔。 但許多學者已指出, 不同時代、不同文獻所記述的叛亂內容大有不同。 比如, 不同文獻對叛亂中周公動向的描述不同。 最具代表性的是受誹謗的周公“居東”這一說法與周公親自“征伐”叛亂這一說法。 周公“居東說”與“征伐說”都是戰國時期出現的, 而且基本上不會在同一文獻中同時出現, 這表示當時文獻的撰寫者認為這兩種說法不能共存。 但是漢代以後出現了解決兩種說法矛盾的嘗試, 尤其是東漢末期以後的經學家試圖共存兩種說法。 後來許多學者立足於文獻記述具有一定的真實性這一經學“信仰”, 力求勉強解決各文獻記述內容之間的矛盾, 導出所謂“三監之亂”的眞相。 但筆者認為不可能把握所謂“三監之亂”的眞相, 解決文獻中兩種說法的矛盾是典型的經學思維方法。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