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대웅 (총신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신학정보연구원 Canon&Culture Canon&Culture 제13권 제2호 (통권 제26호)
발행연도
2019.10
수록면
205 - 247 (43page)
DOI
10.31280/CC.2019.10.13.2.205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다니엘 4장의 창세기 바벨 기사의 사용을 성경 내적 해석을 다룬다. 다니엘 4장이 창세기 11장을 언어와 주제의 측면에서 다시 활용한 양상을 조사하고, 다니엘서와 창세기의 거시적 차원의 역동적인 상호 작용으로 생산되는 의미들을 탐구한다. 다니엘 4장의 창세기 바벨 기사 사용은 바벨론 군왕의 지배를 받던 이스라엘 민족이 옛 바벨의 반역적 건축 사업에 관하여 보존했던 집단적 기억을 반영한다. 동시에 그 기억을 통해 언약 백성의 역사적 정황을 파악하고 회복의 미래를 전망하려 했던 선지자 다니엘 신학적 세계관을 드러낸다. 땅의 중앙에 심긴 나무 및 나무에 기생하는 짐승과 새들은 바벨론 제국 사회를 상징한다. 황제는 자기에게 통치 권력을 맡기신 하늘의 절대군왕을 인정하기까지 비천한 짐승으로 변형된다. 이것은 제국주의 사회와 그 통치자에 대한 다니엘서의 세계관이 반영된 신학적 비평이다. 느부갓네살의 바벨론은 세상 모든 거민을 먹일 만큼 풍요로운 열매가 넘쳤으나, 제국의 군주와 그가 거느리는 신민들은 한낱 짐승의 군집을 형성할 뿐이다. 인간 사회에 찾아온 이 재앙은 통치 권력을 동물이 아닌 인간에게 사용한 제국의 군주의 그릇된 욕망 때문이며, 마지막 날에 건설될 영원한 하나님의 제국에서는 인자 같은 이가 하나님의 대리 통치자로서 그의 통치 권력으로 성도들을 다스리게 될 것이다. 다니엘 4장이 창세기를 해석하며 제시한 제국주의 비평은 제2성전기 문학으로 계승되고 발전된다. 「위-필로」 역시 창세기 바벨 기사를 다시 사용한다. 「위-필로」의 저자는 창세기 바벨 기사와 다니엘 4장 모두에서 하나님의 주권에 대결하고 형벌 받는 인간 나라의 반역적 권력의 문제를 들여다본다. 비슷하게, 「제3바룩서」의 저자 역시 창세기 기사들에 대한 다니엘서의 해석적 사용을 이해하고 발전시킨다. 로마제국의 예루살렘 파괴를 다룬 이 작품에서, 주인공 바룩은 다니엘처럼 애통하며 기도한다. 바룩은 천사와 함께 하늘을 여행하며 홍수 이후 바벨의 탑 건축자들의 동물 형상을 목격한다. 그들은 하늘의 주권자께서 가두어 두시 영원한 형벌의 장소에서 인간의 형상을 잃은 채 고통당한다. 다니엘서의 짐승 변형 모티프는 창세기의 바벨이 동물의 사회로 묘사되는 유대교 주석적 전통 형성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다니엘 4장과 관련된 이후의 문학적 반영물들은 계급적 제국주의 사회야말로 인간의 지위를 떨어뜨리고 인간 상호 관계의 기반을 파괴하는 거대한 사회악으로 다루었던 것이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다니엘 4장의 창세기 바벨 기사 사용: 언어와 플롯의 계승
3. 다니엘 4장의 창세기 바벨 기사 사용: 문맥 차원의 상호 작용
4. 다니엘서에 나타난 창세기 해석의 제국주의 비평: 통치권력 주제와 짐승변형 모티프
5. 창세기 바벨기사의 성경 내적 해석 전통: 다니엘 4장에서 「위-필로」와 「바룩3서」로
6. 나가는 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참고문헌 (9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230-001285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