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들어가며: 한국의 히로시마, 합천
2. 조선인의 일본이주와 강제동원
3. 일본인과 한국인의 피폭실태 비교
4. 일본의 원폭피해자 차별정책과 재판투쟁
4. 나오면서 : 배상과 보상책임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인 원폭피해 관련 한일(韓日) 원폭문헌 및 예술문학의 데이터구축과 그 양상 고찰
日本語敎育
2022 .12
피폭된 신체와 고통: 한국인 원폭피해자를 중심으로
민족연구
2019 .01
원폭(原爆)과 고통의 기억 — 재일시인의 시를 중심으로—
일본어문학
2019 .01
피폭여성문학자 하야시 교코(林京子)의 원폭문학 - 원폭의 범죄성(정치권력)에 대항하는 서벌턴 여성 피폭자의 침묵과 증언을 중심으로-
일본어문학
2021 .11
한일 원폭문학에 나타난 ‘원폭처녀(原爆乙女)’의 비교고찰- 大田洋子의 ‘景子’들과 김옥숙의 『흉터의 꽃』속 ‘분희’를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
2022 .02
한ㆍ일 원폭피해자의 고통의 감정 연대와 균열
한국민족문화
2017 .02
한국 핵 피폭자운동의 선구자 박수복과 한국인 원폭 피해자
동북아역사논총
2022 .09
한국의 원폭문학 고찰 - 『흉터의 꽃』을 중심으로 -
국제언어문학
2020 .08
일제의 강제동원과 원폭피해자 기록의 출처 연구
영남학
2023 .03
한국 원폭피해자에 대한 시민단체의 지원활동 - 한국인 피폭자의 재판과정에서의 시민단체의 역할을 중심으로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2 .04
원폭문학에 나타난 원폭피해자의 삶과 환경- 이성교의 「廣島(히로시마) 戀歌」를 대상으로 -
환경철학
2019 .01
한국인 원폭 피해의 문학적 재현 양상 - 고형렬의 『리틀보이』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
2024 .07
사회적 차별과 서벌턴(나가사키 피폭자) — 가톨릭 신자 나가이 다카시(永井隆)의 『나가사키의 종(長崎の鐘)을 중심으로 —
日本思想
2021 .12
일본 원폭문학의 효시 하라 다미키(原民喜)의『여름 꽃(夏の花)』고찰
국제언어문학
2017 .08
전후 일본의 원폭 담론과 단카 – 쇼다 시노에『참회』의 원폭 기억과 계승 –
일본연구
2024 .03
강제된 이동과 피카돈
일본어문학
2020 .01
구로사와 아키라의 《산 자의 기록(生きものの記錄)》에 관한 고찰 : 흥행의 실패요인과 제작의도를 중심으로
일본연구
2018 .02
조국근대화 담론에 맞선 한국교회여성연합회 활동의 역사적 의의 : 1970-80년대 기생관광, 원폭피해자 조사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와 역사
2024 .09
민족/국경을 넘은 재난 속 상호연대의 불/가능성 — 『맨발의 겐(はだしのゲン)』 다시 읽기 —
외국학연구
2023 .03
오다 마코토(小田実) 『HIROSHIMA』가 ‘히로시마’를 문학화하는 방법
일본학보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