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기억의 층위 ― 뇌-영혼-몸 사유의 다학제적 연구의 가능성
신학사상
2024 .06
문학작품 속에 나타난 치매서사의 탐구
영미문화
2017 .01
5.18 기억과 구술사: 기억공동체에서 기록공동체로
구술사연구
2021 .09
김성일 촉석루시의 시사적 위치와 문화적 기억의 실체
한국문학논총
2024 .08
정신치료적 관점에서 조명한 후설의 기억이론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5 .06
1980~1990년대 대중음악 '재생'의 사회문화적 의미- 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와 예능 프로그램 <싱어게인>을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2024 .08
기억의 경쟁에서 기억의 연대로? : 홀로코스트와 프랑스 탈식민화 기억의 다방향적 접합
역사비평
2015 .11
오탁번 시에 나타난 기억의 가변성과 재현 양상 연구 - 「아침의 豫言」, 「아침 散調」, 「아침 行進」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2022 .06
나치와 홀로코스트에 대한 독일 기억문화의 유형과 미래의 지속 가능한 기억문화
유라시아연구
2020 .01
记忆与身份认同的文学演示――1960年代韩国华人华文小说研究
중국학
2021 .12
하이데거에게 있어 기억과 상상의 에토스
현대유럽철학연구
2015 .01
‘5․18광주민주화운동’과 ‘기억’의 방식 : 문순태의 5·18 관련 소설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15 .04
어거스틴과 아퀴나스의 기억이론 : 기억의 영성과 범주화에 관하여
장신논단
2015 .12
몸의 기억과 자기 정체성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8 .09
트라우마와 기억의 재구성 : 세월호 이후 십자가 신학과 실천
신학논단
2015 .03
베르그손의 『물질과 기억』에서 기억의 보존과 가변성에 대한 연구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8 .06
문화적 실천 관점에서 본 지역 기억의 생성력 - 대구 2·28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022 .02
Exploring Working Memory Capacity as an Independent Contributor to L2 Discourse Comprehension : A Study of Korean EFL Learners
어학연구
2015 .08
다중기억이론과 인공지능 : 『위고 카브레』 속 인간과 오토마톤
인문콘텐츠
2022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