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구어 통사 숙달도 발달 연구
국어국문학
2024 .12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의 정의적 변인이 말하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국어교육연구
2022 .12
CAF에 나타난 한국 대학생의 말하기 특징
영어교육연구
2022 .12
L2 문어 숙달도 발달과 예측 지표: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예
언어
2024 .12
English Learners’ Orientations Towards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Learner Factors and L2 Writing Performance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2021 .12
쓰기/말하기 통합 기능학습을 위한 초급 작문 수업 연구 : 어휘와 문법을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17 .08
한국어 단기 유학생의 학습자 변인이 말하기 숙달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19 .01
발화 상황이 말하기 유창성과 정확성의 상충 효과에 미치는 영향
언어와 정보사회
2017 .01
학습 환경에 따른 한국어 접촉 양상이 구어 유창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태국인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언어학 연구
2015 .04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Differences, Learning Styles, Learning Strategies and EFL Learners’ Speaking Fluency
영어영문학21
2018 .01
The Effect of Model Essays on Complexity and Fluency of L2 Learners’ Writing Performance
영어영문학연구
2015 .01
한국어를 전공하는 중국인 대학생의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 및 불안감에 관한 연구
언어학
2023 .06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토론 수업 연구-학습자 간 유창성 평가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2021 .08
A dynamic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yntactic complexity of second language learners’ written English
언어과학연구
2024 .09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와 말하기에 나타난 표현 전략 사용 양상 비교 연구
화법연구
2018 .01
Motivational Principles underlying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Second Language Writing
영어학
2022 .01
과제 수행 중심 말하기 모델로서의 ‘한국어 마을’ 사례 연구
한국민족문화
2018 .05
Revisiting the Impact of 4/3/3 and 3/3/3 Tasks on Learners’ Speaking Performance and Development: A Learner’s Perspective
Journal of Asia TEFL
2020 .01
The Development of Writing in 5th and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Comparison with 2015 English Curriculum: A Corpus-based Analysis
응용언어학
2023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