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南冥學硏究 南冥學硏究 제48호
발행연도
2015.1
수록면
147 - 188 (4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종친은 국왕의 8촌 이내의 친족이다. 조선시대에는 종친에게 종반직을 수여하여 왕실구성원으로서 품위를 지킬 수 있도록 대우하였다. 종친은 親盡되어 종친의 지위에서 벗어나면 과거를 통해서 관직에 진출할 수 있었다. 이것은 왕실구성원에서 사대부가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다. 종친이라 하여 사회·경제적 지위가 한결같지 않았다. 관직 진출의 통로인 문과·무과·생원진사시 합격자를 고루 배출한 왕자군파는 94개 왕자군파의 51%에 지나지 않는다. 과거합격자를 배출한 왕자군파 내에서도 여러 갈래 지파로 나뉘기 때문에 사대부가로 정착한 집안이 많은 편은 아니다. 본고에서는 정종의 10남 德泉君派 李惟侃 가계가 종친에서 사대부가로 더 나아가서는 문관관료 가문으로 성장해간 과정을 통해서 종친에서 사대부가로 변모해갈 수 있었던 요인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덕천군 李厚生은 정종의 아들로 태어나서 親王子로서 봉군되지 않았다. 이후생은 덕천정이란 종반직에 처음 제수된 후 1460년(세조 6)에 봉군되었다. 그의 아들 李孝伯·李孝叔·李孝誠·李孝昌 등은 모두 무예가 출중하였으며, 장남 이효백과 3남 이효성은 세조 때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덕천군 가문은 종친으로서 세조·예종·성종·연산군·중종 등 여러 국왕의 신임을 받아 당대에 봉군되어 핵심 위치에 있었다. 게다가 덕천군 집안은 명문가문과 혼인하여서 정치·경제·사회적으로 확고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李惟侃은 덕천군 장남 新宗君 李孝伯-장남 莞城君 李貴丁-4남 咸豊都正 李繼壽 가계 계통이다. 함풍도정 이계수의 아들 李秀光이 이유간의 부친이다. 이수광은 종친의 지위에서 벗어난 정종의 5세손이었다. 그는 관직에 나가지 못하였고, 국왕 친족이 들어갈 수 있는 특수 군종인 충의위에 입속되었다. 그에게는 3남 2녀가 있었는데, 3남인 이유간이 생원시를 거쳐 관직에 나감으로 사대부가로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유간이 관직에 나갈 수 있었던 요인은 생원 획득과 그를 문음으로 추천할 관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李秀光이 정종의 5대손으로 충의위에 소속되는 데 그쳤기 때문에, 이유간과 그의 형제들이 가문을 배경으로 문음에 추천되기는 어려웠다. 이유간은 생원을 획득하여 문음 추천 대상이 되었고, 그를 추천해 줄 현직 관원이 있었다. 즉 과거와 종친 가문 출신이었기에 형성된 왕실 친인척 그리고 관료 가문과의 인적 네트워크가 그를 起身하여 官界로 진출할 수 있게 한 바탕이었다. 게다가 이유간의 아들 이경직·이경설·이경석이 모두 과거에 합격하여서 官界로 나감으로써 이유간 가계가 사대부 가문으로 성장해갈 수 있는 탄탄한 기반이 되었다. 장남 李景稷은 광해군대 관료 생활을 시작하여 어려움이 있긴 했으나 인정반정 이후에는 평탄하게 관료 생활을 하여 당상관에 올랐다. 3남 李景奭은 문과에 급제한 후 7년 만에 당상관에 올른 탁월한 엘리트 관원이었다. 성공적으로 사대부가로 자리 잡은 후에도 이경직·이경석 후손은 지속적으로 생원진사시 그리고 문과에 합격하였다. 한 집안에서 3~4대 연속적으로 문과급제자가 배출되기는 어려운 일이었다. 이경직·이경석 후손은 번갈아가며 각 세대마다 끊임없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소론 핵심 관료이었기 때문에, 숙종 후반 科獄과 영조대 나주 괘서사건 등 노론과의 정쟁으로 집안이 멸문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정치 상황에서 이경직 후손 중에는 학문에 몰두하여 양명학을 연구하는 강화학파로 이름난 집안도 있었다. 18세기 후반 정조대 이유간 가계는 다시 문관 관료가 배출되기 시작하여 19세기 외척 세도정치기에도 문관관료 가문으로서의 위상을 지켜갔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3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